카카오, 카카오뱅크 최대주주 관문 통과

카카오가 오늘 금융위원회의 한국카카오은행(이하 카카오뱅크) 한도초과보유주주 승인 심사를 통과했다. 금융위원회는 24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해당 안건을 승인했다. 카카오는 한도초과보유주주 승인 심사 통과로 지분을 확대해 카카오뱅크 최대주주에 오를 수 있게 됐다.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에 따라 ICT 기업 등 카카오와 같은 비금융 주력자도 인터넷은행의 의결권 있는 주식을 34%까지 취득 가능한데, 재무건전성과 사회적 신용, 그리고 정보통신업 영위 비중 요건 모두를 충족해야 한다. 오늘 회의를 통해 금융위원회가 모든 요건을 충족했다고 의결한 것이다.

카카오는 지난 7월 12일 이사회를 열고 한국카카오은행 공동출자 약정서에 따라 콜옵션을 행사해 카카오의 지분을 법률상 한도인 34%까지 확보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앞으로 한국투자금융지주의 초과 보유 승인 등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주주들과 협의를 거쳐 최대주주가 될 예정이다.
2015년 6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IT와 금융을 융합해 금융산업에 경쟁과 혁신적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방안을 발표했다. 카카오 컨소시엄은 2015년 11월 국내 최초로 인터넷전문은행 사업 예비인가를 획득했다. 이후 2016년 1월 한국투자금융지주, KB국민은행 등 주주사 11곳과 카카오뱅크를 설립했다. 이후 2017년 4월 은행업 본인가를 받고 7월 카카오뱅크 대고객 서비스를 시작했다.
카카오뱅크는 △공인인증서 없는 모바일 뱅킹 △ICT기술 기반의 뱅킹 시스템 △26주 적금, 모임 통장, 비대면 전월세 보증금 대출 등 차별화된 금융 상품 △고객센터 챗봇 도입 △무료 ATM 수수료 프로모션, 해외 송금 수수료 인하 등 기존 은행 서비스를 재해석하며 은행 산업을 비롯한 금융 분야 혁신을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금융은 복잡하고 불편하다’는 소비자들 인식을 ‘쉽고 편리하게도 쓸 수 있다’라고 전환하는데 기여했다. 카카오뱅크는 최근 계좌 개설 고객수 1,000만 명을 달성했다.
카카오의 여민수·조수용 대표는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이용자분들의 사랑과 응원 덕분이다. 전세계적인 금융 혁신과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국회와 정부의 결정에도 감사를 표한다”며 “카카오는 카카오뱅크가 보여준 혁신과 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카카오뱅크에 대한 기술 협력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 모바일 환전 ‘캐시멜로’, JB벤처스에서 투자유치
- 네이버, 네이버페이에 후불결제 시범 서비스 개시
- 한국신용데이터, 폐업비용 최대 200만원 지원.. “소상공인 맞춤금융 서비스 출시”
- [실리콘밸리 소식] 기업 경비관리 ‘램프’, 16억달러 가치에 1억달러 투자유치
- ‘헤이비트’, 90억원 투자유치.. “디지털자산 투자 대중화에 앞장”
- 두나무, 코로나19 확산방지-피해복구에 100억원 쾌척
- AI 세금환급 ‘삼쩜삼’, 누적 가입자 100만명.. 누적 환급액 350억원
- [실리콘밸리 뉴스] 클라우드 디지털 뱅킹 플랫폼 ‘알카미’, 20억달러 가치로 상장 추진
- 두나무가 뽑은 3월 비상장 주식은 카카오뱅크-크래프톤-야놀자
- 토스, 2020년 매출 3,900억원에 영업손실 725억원.. “올해 매출 1조원에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