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케이녹’ 온라인 개최.. “콘텐츠 분야 대표 피칭플랫폼으로 자리매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지난 21일에 투자자 대상 투자피칭 행사인 ‘2020 콘텐츠 피칭플랫폼 케이녹(KNock)’을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유망 콘텐츠 기업과 투자자 간 연결을 위해 본격 나섰다고 밝혔다.

콘진원은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콘텐츠 기업들을 지원하고, 산업 내 투자 활성화를 이끌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콘텐츠 기업과 투자자를 연결하는 케이녹 행사를 진행해왔다.
올해는 그 동안 공모 방식으로 진행되어왔던 기업모집에서 탈피하여 콘진원의 제작지원 및 입주지원 사업에 참여한 240여 개 콘텐츠 기업을 대상으로 참가기업을 모집하였다. 이를 통해 콘진원의 각 사업이 1회성 지원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투융자 연계를 통한 콘텐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 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행사를 위해 콘진원은 콘텐츠 기업의 투자 역량 강화를 위한 ▲기업맞춤형 IR교육 ▲모의피칭 ▲피칭클리닉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최종 선발된 총 10개 기업에게 온라인 피칭기회를 제공했다. 온라인 피칭에는 벤처캐피탈, 액셀러레이터 등 투자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콘텐츠 기업의 피칭을 검토했다.
행사에 참여한 인디게임 개발업체 ‘겜브릿지’ 도민석 대표는 “소위 킬러 콘텐츠를 갖고도 투자유치 시 필요한 다양한 자격과 절차들 때문에 작은 콘텐츠 기업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며, “제작지원 사업 종료 후에도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교육은 물론, 투자자와의 만남 기회가 주어져 신작 <웬즈데이> 출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케이녹에 참여한 투자기관 SV인베스트먼트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콘텐츠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시기에 투자 가치가 있는 우수한 콘텐츠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의미있었다”고 전했다.
콘진원은 케이녹을 지속·확대하여 뛰어난 아이디어를 갖추고도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국내 콘텐츠 기업을 상시 발굴하고 정기적으로 투자시장에 선보여 투자자와의 매칭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올해 케이녹은 콘텐츠 기업을 지속 발굴·육성하고 연내 총 3회의 피칭행사로 투자자들과 만나 콘텐츠 분야 대표 피칭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콘진원 김영준 원장은 “케이녹을 통해 앞으로도 유망 콘텐츠 기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소개하여, 궁극적으로 콘텐츠산업이 벤처투자사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문체부, 모태펀드 1차 출자사업 공고.. 2,000억원 출자(~2/16)
- 라이브 스트리밍 앱 ‘삼십구도씨’, 젤리버스에서 2억원 투자유치
- 사용자 주도 뮤직 ‘버시스’, IPS벤처스에서 전략적 투자유치
- 교육 MCN ‘유니브’, 구독자 110만명 조회수 4억회 돌파
- 리디, 게임 퍼블리싱 사업 진출.. “소설-만화-애니 이어 디지털 콘텐츠 영역 확장”
- 4차원 특수영상 ‘포디리플레이’, 1,500만달러 투자유치.. “엔터테인먼트-교육 시장으로 확장”
- 콘텐츠 추천 ‘데이블’, 140억원 투자유치.. “해외 시장 확대”
- 카카오M, 스토리IP 발굴 위한 ‘드라마 공모전’ 개최(~1/15)
- 샌드박스, 中 ‘비리비리(bilibili)’서 구독자수 130만 돌파
- 흑자 전환 ‘리디북스’, 일 거래액 12억원 돌파
- 문체부, 모태펀드 1차 출자사업 공고.. 2,000억원 출자(~2/16)
- 2020년 벤처펀드 6.6조원 결성.. 전년 대비 54% 증가하며 역대 최초 6조 돌파
- 카카오-네이버에 국가자격증 담는다
- 중기부, 실리콘밸리식 ‘투자조건부 융자’ 도입 추진.. “3천개 기업에 3조원 지원”
- 과기부, AI 반도체에 1,253억원 지원.. “제2 D램으로 키운다”
- 중기부,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상시 접수 시범 운영
- BIG3 분야 스타트업 지원 강화.. 벤처펀드 5,000억원 추가 조성
- 중기부, ‘CES 2021’에 97팀 참여하는 ‘케이스타트업관’ 개설
- 중기부,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참여기업 모집(~2/8)
- 과기부, DNA 분야 협업기술개발 8팀 선정.. 최대 15억원 지원(~2/5)
보도자료 배포 editor@wowtale.net. 매일 아침에 배달되는 스타트업 뉴스 와우데일리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