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권칠승 장관, 중소기업과 첫 간담회 개최
Reading Time: 2 minutes중소벤처기업부는 권칠승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아 업종별 중소기업협동조합 이사장 등 중소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권칠승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해 코로나 위기로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은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벤처·스타트업은 일자리 창출과 진단키트와 방역제품 개발 등을 통해 케이(K)-방역의 핵심 역할을, 소상공인들은 영업 제한·금지 등 방역조치 준수로 코로나 확산 방지에 큰 역할을 해 줬다”며, 중소기업계에 노고 위로와 감사의 뜻을 전했다.
권 장관은 취임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어려움에 처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회복과 도약에 최우선으로 집중하겠다는 정책방향과, 구체적 방안으로 소상공인 피해구제 등 민생경제 회복과 벤처·스타트업의 선도형 경제 주역화, 전통중소기업과 지역중소기업의 혁신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한 5대 주요 정책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우선 “코로나의 장기화로 소상공인들이 매우 힘든 상황을 감안해 신속하게 버팀목 자금을 집행하고 임대료 부담 경감을 위한 융자 지원, 세제지원 등 위기를 견뎌낼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지속”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디지털·비대면·그린경제 분야 창업붐, 스마트대한민국펀드 등 벤처투자 기반의 제2의 벤처붐, 브랜드케이(K), 온라인 수출 등 수출붐을 통해 벤처·스타트업을 선도형 경제의 주역으로 육성하는 한편, 스마트제조혁신, 친환경 공정혁신, 신사업전환혁신의 3대 프로젝트를 통해 전통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스마트상점, 디지털 전통시장 구축 등 소상공인의 디지털 혁신에도 주력할 계획이다”라는 구체적인 내용도 밝혔다.
간담회에서는 최근 코로나 위기로 중소기업계가 직면한 애로와 관련해 ‘코로나19 피해업종 고용유지 지원기간 연장 건의’ 등 총 40여 개의 건의와 해소방안 논의가 이뤄졌다.
중기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향후 중소기업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한편, 중소기업계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중소기업지원정책을 발굴하고 중소기업 애로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 한-덴마크, 중소기업·스타트업 지원 업무협약 체결
- 중기부, 美서 ‘스케일업 팁스 2차 밋업’ 개최…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 정부, 민간·지역과 디지털 제조혁신 기업 2.5만개 육성
- 전북센터, 남원청년마루 개소식 개최.. “남원 특화 창업 전주기 맞춤 지원”
- 정부, 4대 특구로 지방시대 연다…지방판 ‘판교 테크노밸리’ 조성
- AI 산·학·연 생태계 조성…AI 양재 허브, 스타트업에 GPU 등 인프라 지원
- 상반기 창업 65만개, 전년동기비 6.5% 감소…부동산 분야 급감
- 오세훈 서울시장, 칼판 벨훌 두바이 미래재단 대표와 스타트업 지원 논의
- 윤대통령, 초거대 AI 도약 회의 주재.. “글로벌 무대로 과감한 투자”
- 중기부, ‘지역산업 육성’ 특화 프로젝트 추진…성과지향적 사업 중점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