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삼성·SK·DB 파운드리 활용 및 최대 2억원 지원 ‘팹리스 챌린지’ 개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국내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파운드리 기업의 첨단 설비를 활용할 수 있는 ‘2025년 팹리스 챌린지’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한다고 10일 발표했다. 

7th fabless foundry - 와우테일

중기부는 이날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창업정책관 주재로 한국팹리스산업협회와 국내 4개 파운드리사 임직원, 서울대학교 시스템반도체 산업진흥센터 교수 등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7회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의회’(이하 상생협의회)를 개최했다. 

상생협의회는 우리나라 팹리스와 시스템반도체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기부 주관으로 팹리스 업계와 파운드리가 참여하는 정례적인 소통 채널이다. 중소 팹리스의 애로를 해결하고 협력 방안을 정책으로 반영하기 위해 ’22년에 발족해 올해 7회를 맞았다.

이번 상생협의회에서는 서울대학교 시스템반도체 산업진흥센터 류수정 교수의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산업 동향 및 주요 이슈’ 발표를 시작으로, 각 기관별로 ‘2025 팹리스 챌린지’ 세부 추진계획, 팹리스 협회와 파운드리 주요 업무 추진 계획, 팹리스 실태조사 용역 계획 등의 안건을 발표했다.

이날 중기부가 공고한 ‘2025년 팹리스 챌린지’는 국내 파운드리와 공동으로 유망 팹리스 스타트업을 선정, MPW(시제품 제작 공정) 제공과 소요 비용, 신제품 제작 기회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2년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됐으며, 현재까지 15개사가 선정돼 지원을 받았다.

특히, 2024년부터 삼성전자 파운드리 외에 DB 하이텍, SK키파운드리 등 국내 모든 파운드리가 챌린지에 참여해 지원 규모가 확대되고, 다양한 MPW 공정을 제공하고 있다. 공고에 따라 국내 파운드리 3개사의 MPW 공정 이용을 희망하는 창업 10년 이내의 유망 팹리스 스타트업을 모집하여 서류와 발표 평가를 통해 최종 5개의 스타트업을 선정한다. 최종 선정된 기업은 파운드리의 MPW 제작 공정을 우선 이용하고, 기업당 1억원에서 최대 2억원의 소요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조경원 창업정책관은 “최근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간 반도체에 대한 치열한 주도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전체의 연대와 협력이 중요한 시기”라면서, “중기부는 팹리스와 파운드리 기업의 상생 협업을 기반으로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와 글로벌 위기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