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블록스, AI 코딩 보안 위험 해결 위해 2,300만 달러 추가 투자 유치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를 제작하는 슈퍼블록스(Superblocks)가 시리즈A 연장 라운드에서 2,30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클라이너 퍼킨스, 스파크 캐피털 파트너스, 그린오크스 캐피털 파트너스, 메리테크 캐피털 파트너스 등이 참여했다. 이로써 총 투자 유치 금액은 6,000만 달러에 달한다.

superblocks Clark - 와우테일

이 회사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야기한 특별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등장으로 누구나 쉽게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게 되었지만, IT 부서의 감독 없이 개발된 소프트웨어들은 컴플라이언스 위험과 보안 취약점으로 가득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을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라고 부르는데, 자연어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AI 도구를 사용해 빠르게 소프트웨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대개 기본 코드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이뤄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AI가 생성한 소프트웨어의 62%가 오류나 보안 취약점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래드 메네제스 슈퍼블록스 공동창업자 겸 CEO는 “지난 90일 동안 바이브 코딩이 대중화됐고, 향후 90일 내에는 IT 부서 관리를 받지 않는 바이브 코딩 도구로 인한 첫 번째 대규모 보안 침해 사고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슈퍼블록스의 해답은 ‘클라크(Clark)‘라는 AI 에이전트다. 클라크는 자연어 프롬프트를 안전하고 프로덕션 급의 리액트(React)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한다. 리액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에 최적화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 현대 웹의 대부분이 이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클라크는 디자인, 보안, 품질 보증, IT 정책을 담당하는 전문 AI 에이전트들을 통해 요청을 처리하여 실제 내부 개발팀의 운영 방식을 모방한다.

이 아이디어는 메네제스가 데이터독(Datadog)에서 제품 관리 디렉터로 근무할 때 떠올랐다. 내부 앱을 모니터링하는 고객들이 앱 구축과 유지 관리의 어려움을 지속적으로 호소했지만,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적절한 제품이 없어 맞춤형 솔루션을 직접 개발해야 했기 때문이다.

superblocks team - 와우테일

슈퍼블록스는 생성형 AI가 진입 장벽을 낮추면서 기업 내 자체 개발 소프트웨어의 사용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클라크는 회사의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고유한 기업 컨텍스트로 훈련된 다양한 인기 LLM을 사용하며, “슈퍼블록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면 올바른 감사 로깅, 권한, 개인 데이터 및 통합 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고 메네제스는 설명했다.

메네제스 CEO는 조달한 자금을 현재 50명인 직원 수를 두 배로 늘리고 엔지니어링 및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