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유니콘 기업 20곳 탄생, 2022년 7월 이후 최다 기록


글로벌 벤처투자가 회복세에 접어든 가운데, 지난 6월에 전 세계적으로 20개의 유니콘이 탄생했다. 와우테일은 지난 기사를 통해 2025년에 36개의 유니콘이 탄생했다고 전해드린 적 있는데, 6월에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유니콘이 확인된 셈이다.  

크런치베이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20개 기업이 새롭게 유니콘에 합류하며 2022년 7월 벤처 펀딩 침체가 심화된 이후 단일 월 기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Global New Unicorn Count by month - 와우테일

이 중 가장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곳은 싱킹 머신즈 랩(Thinking Machines Lab)으로, 120억 달러 가치 평가로 20억 달러 규모의 시드 라운드를 조달했다. 미국이 11개 기업으로 6월 유니콘 창출을 주도했고, 중국이 4개 기업으로 뒤를 이었다. 이스라엘, 인도, 아랍에미리트, 스위스가 각각 1개씩 추가됐으며, 뉴질랜드는 첫 유니콘 기업을 배출했다.

오픈AI 출신 무라티의 ‘싱킹머신즈랩’, 20억 달러 투자유치.. 실리콘밸리 시드 단계 최고 가치 기록

같은 기간 6개 기업이 상장하며 유니콘 보드를 졸업했다. 이 중 4곳이 미국 기업으로, 98억 달러 가치로 상장한 네오뱅크 차임(Chime)이 가장 주목받았다. 기타 미국 유니콘 상장 기업으로는 결제용 스테이블코인 서비스 서클(Circle), AI 기반 정밀의학 스타트업 카리스 라이프 사이언시스(Caris Life Sciences), 행동 건강 회사 오마다 헬스(Omada Health)가 있다. 중국에서는 음성 AI 기업 유니사운드(Unisound)와 차량 공유 서비스 카오카오 추싱(Caocao Chuxing)이 상장했다.

또한 2개 유니콘이 인수됐다. 중소기업 대상 미지급금 서비스 멜리오(Melio)는 뉴질랜드 기반 회계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로(Xero)에 매각됐고, 무버블 잉크(Movable Ink)는 사모펀드 심포니 테크놀로지 그룹(Symphony Technology Group)에 인수됐다.

6월에 새롭게 탄생한 20개 유니콘 기업을 살펴보면, AI 분야가 가장 활발했다. 미라 무라티가 설립한 AI 연구소 싱킹 머신즈 랩은 안드리슨 호로위츠 주도로 사상 최대 규모인 20억 달러 시드 라운드를 조달하며 120억 달러 가치 평가를 받았다. 설립 1년 미만의 샌프란시스코 기업이다. 고객 경험용 대화형 AI 데카곤(Decagon)은 액셀과 안드리슨 호로위츠 주도로 1억 3100만 달러 시리즈 C를 조달해 15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았다.

AI 고객 서비스 스타트업 ‘데카곤’, 15억 달러 가치에 1.3억 달러 투자 유치

로보틱스 분야에서는 중국의 유니트리 로보틱스(Unitree Robotics)가 산업용과 소비자용 휴머노이드 및 4족 보행 로봇 개발업체로 차이나 모바일 이노베이션 인더스트리 펀드 주도의 9700만 달러 시리즈 C를 통해 17억 달러 가치를 평가받았다. 미국의 게코 로보틱스(Gecko Robotics)는 방산, 에너지, 제조업용 로봇 AI 검사 서비스로 콕스 엔터프라이즈 주도의 1억 2500만 달러 시리즈 D를 조달해 13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았다.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는 이벤트 결과 거래 플랫폼 칼시(Kalshi)가 패러다임 주도의 1억 8500만 달러 시리즈 C로 20억 달러 가치를 달성했고, 사모펀드 및 벤처캐피털용 펀드 관리 플랫폼 주니퍼 스퀘어(Juniper Square)는 리빗 캐피털 주도의 1억 3000만 달러 시리즈 D로 11억 달러 가치를 평가받았다.

예측 시장 플랫폼 ‘칼시’, 1.85억 달러 투자유치.. 기업가치 20억 달러 

개발자 도구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 팀용 제품 관리 도구 리니어(Linear)가 액셀 주도의 8200만 달러 시리즈 C로 13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았고, 실시간 데이터 관측 플랫폼 코랄로직스(Coralogix)는 뉴뷰 캐피털 주도의 1억 1500만 달러 시리즈 E로 11억 달러 가치를 달성했다.

Web3 분야에서는 블록체인용 암호화 솔루션 구축 업체 자마(Zama)가 블록체인지 벤처스와 판테라 캐피털 주도의 5700만 달러 시리즈 B로 12억 달러 가치를 평가받았다. 텔레그램에 통합된 블록체인 인프라 개발업체 더 오픈 플랫폼(The Open Platform)은 리빗 캐피털 주도의 2900만 달러 시리즈 A로 10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았다.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중국에서 윈도우와 맥OS에 경쟁하는 오픈소스 운영체제 개발사 킬린소프트(Kylinsoft)가 차이나 내셔널 소프트웨어 앤 서비스 주도의 4억 1800만 달러 기업 펀딩으로 16억 달러 가치를 달성했다.

헬스케어 분야의 유나이티드 이미징 인텔리전스(United Imaging Intelligence)는 의료 영상 장비로 식별, 진단, 치료 추천이 가능한 기업으로 E펀드와 샹궈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주도의 1억 3900만 달러 시리즈 A로 14억 달러 가치를 평가받았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고성능 스포츠팀 개발용 소프트웨어 서비스 팀웍스(Teamworks)가 기존 투자자인 드래고니어 인베스트먼트 그룹 주도의 2억 3500만 달러 시리즈 F로 12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았다.

방산 기술 분야의 군사 계획 소프트웨어 업체 원브리프(Onebrief)는 배터리 벤처스 주도의 2400만 달러 시리즈 C 연장 라운드로 11억 달러 가치를 달성했다. 네트워크 서비스의 미터(Meter)는 네트워킹 인프라 기업으로 제너럴 캐탈리스트 주도의 1억 7000만 달러 시리즈 C로 10억 달러 가치를 평가받았다.

이커머스 분야에서는 인도의 식품 및 생필품 B2B 전자상거래 마켓플레이스 점보테일(Jumbotail)이 SC 벤처스 주도의 1억 2000만 달러 시리즈 D로 10억 달러 가치를 달성했다. 마지막으로 디바이스 분야의 홀터(Halter)는 소 방목 관리용 스마트 목걸이 기술 업체로 본드 주도의 9900만 달러 시리즈 D를 통해 뉴질랜드 최초의 유니콘이 되며 10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았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