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오에스랩, 430억원 자금조달.. 반도체 팹리스 사업 본격화


라이다(LiDAR) 기술 선도기업 에스오에스랩이 43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일 발표했다. 이번 투자 자금은 자율주행 및 로봇 산업의 핵심 부품인 SPAD(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팹리스 사업 진출과 로봇용 라이다 양산 확대에 전액 투입될 예정이다.

SOSLab logo - 와우테일

에스오에스랩은 공시를 통해 제1회차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발행되는 전환사채는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 모두 0%이며, 전환가액은 주당 1만857원으로 책정됐다.

조달된 자금은 SPAD 팹리스 사업과 로봇용 라이다 양산 확대를 위한 운영 자금으로 활용된다. SPAD 팹리스 사업은 글로벌 IT 빅테크 기업과 국내 팹리스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팹리스는 설계와 개발에만 집중하는 사업 구조로, 재고자산 위험이 없고 제조는 주문자제작방식(OEM)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SPAD는 단일 광자까지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광학 센서로, 라이다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다. 라이다 전체 제조원가의 약 4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아, 이 기술의 내재화를 통해 원가 절감과 가격 경쟁력 확보, 그리고 밸류체인의 수직적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SPAD의 활용 분야는 라이다를 넘어 다양하다. 드론과 모바일 기기의 3D 스캐닝,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기기에서 정밀한 거리 측정 및 공간 인식에 사용되며, PET 스캔 등 의료기기와 광통신 분야에서도 응용되고 있다.

에스오에스랩은 자체 개발한 SPAD를 자사의 고정형 3D 라이다를 포함한 다양한 라이다 제품군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와 로봇 등 피지컬 AI 기반 산업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센서 시장을 선도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에스오에스랩 관계자는 “회사의 기술력과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높이 평가받아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며 “SPAD 내재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은 물론 라이다 수신기 분야에서의 기술 자립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에스오에스랩은 작년 6월에 코스닥에 상장한 바 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