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SKT-업스테이지 등,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주관 사업자 선정


네이버클라우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스테이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5개 주관 사업자 중 하나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네이버를 비롯해 실리콘밸리 영상 멀티모달 AI 스타트업 트웰브랩스, KAIST·서울대·포항공대·고려대·한양대 등 국내 유수 대학·연구기관과 SKT 컨소시엄(SK텔레콤·라이너·크래프톤·리벨리온·포티투닷), 업스테이지가 참여한다.

네이버클라우드SK텔레콤, 업스테이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5개 주관 사업자 중 하나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네이버를 비롯해 실리콘밸리 영상 멀티모달 AI 스타트업 트웰브랩스, KAIST·서울대·포항공대·고려대·한양대 등 국내 유수 대학·연구기관과 SKT 컨소시엄(SK텔레콤·라이너·크래프톤·리벨리온·포티투닷), 업스테이지가 참여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AI 기술 개발부터 서비스 구현까지 전 과정을 자체 기술로 수행할 수 있는 ‘AI 풀스택’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프롬스크래치 방식으로 자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비롯해, 대규모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인프라·AI 플랫폼·애플리케이션·사용자 서비스까지 모두 직접 구축·운영하며, 실제 대규모 서비스 적용 경험을 축적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네이버의 언어·음성 기반 멀티모달 기술과 트웰브랩스의 세계 최고 수준 영상 AI 기술을 결합해,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 이종 데이터를 통합 이해·생성하는 ‘옴니(Omn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국내 산업·공공 분야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용 가능한 완성형 멀티모달 AI를 구현할 계획이다.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은 이 옴니 모델을 기반으로 전 국민이 쉽게 경험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등을 통해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개발·등록·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산업별 특화 모델과 솔루션의 상용화도 추진한다.

또한 사우디·태국·일본 등에서의 소버린 AI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K-AI 글로벌 수출 모델을 확립하고, 경량·추론 특화 모델 오픈소스 공개 등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 확산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업스테이지는 새로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는 ‘유형 1’ 과제에 지원해 최종 선정됐다. 이를 통해 자체 아키텍처와 학습 알고리즘을 새롭게 설계·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프런티어 모델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개발 로드맵에 따라 모델 사이즈(1000억~3000억 파라미터), 언어(한/영/일/동남아), 멀티모달, 산업별 특화 등으로 점진적인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업스테이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성과 스타트업의 혁신성을 결합한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먼저, 모델 개발과 GPU 인프라 운영에는 ▲래블업(GPU 분할 가상화), ▲노타 AI(모델 학습 및 경량화 최적화), ▲플리토(데이터 전처리 및 평가)가 참여한다.

학계에서는 ▲카이스트(오혜연, 이재길, 임경태 교수), ▲서강대학교(장두성, 최준석, 이화란 교수) 연구진이 참여해 해외 우수 연구자 유치, 정규 강좌 개설, 국제 학술 논문 및 특허 창출 등을 통해 연구 및 인재 양성에 힘을 보탠다.

12 - 와우테일
13 - 와우테일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