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핀테크 ‘오픈에셋’, 더즌으로부터 50억원 전략적 투자 유치


스테이블코인 발행기술을 보유한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오픈에셋이 금융 VAN 사업자 더즌으로부터 5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11일 밝혔다.

OPENASSET - 와우테일

서울창업허브 공덕 입주기업인 오픈에셋은 글로벌 디지털 자산 규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한 선제적 행보로 이번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양사는 이번 투자를 통해 핵심 역량 간 시너지 지점을 정밀하게 발굴해 공동 개발에 나선다. 더즌의 국내 주요 금융기관 연계 연동망과 오픈에셋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기술을 선택적으로 연결한 하이브리드 금융 서비스 개발로, 각사의 전문성을 살리고 상호 보완적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협업의 핵심은 오픈에셋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서비스 ‘오픈민트(OpenMint)’와 더즌의 금융 결제 인프라를 직접 연계한 통합 서비스 출시다.

오픈에셋은 더즌의 금융 연동망을 활용해 범용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발행하고, 자체 브랜드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원하는 기업들을 위한 화이트라벨 발행 대행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실물결제를 포함 다양한 Web3 금융 활용사례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양사는 더즌의 펌뱅킹 및 카카오 인증 시스템과 오픈에셋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스템을 연동한 통합 서비스를 공동 개발한다. 사용자는 기존 은행 계좌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다시 은행 계좌로의 실시간 전환이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더즌의 외화 환전 키오스크에도 스테이블코인을 적용해 국내외 이용자의 폭넓은 가상자산 기반 충전, 환전 환경을 구축한다.

더즌의 크로스보더 정산망과 오픈에셋의 온체인 기술을 결합해 수수료 절감형 스테이블코인 기반 국제송금 서비스도 공동 개발 중에 있다. 글로벌 시장 확장 시 Web3 지갑 시스템과 온체인 정산 인프라를 제공, 신속한 기술 도입과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협업을 통해 오픈에셋은 더즌이 보유한 국내 주요 금융기관 연계 연동된 이중화 구조의 안정적인 VAN 시스템과 고가용성 SLA 기반의 펌뱅킹·가상계좌 인프라에 직접 연동하게 된다. 이는 금융기관 연계 기반이 취약한 대부분의 Web3 기업들과 차별화되는 강점으로, 은행-지갑 간 정산 연계와 같은 Web3-전통금융 융합 모델을 현실화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즌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자사 크로스보더 정산, 국내외 셀러 지급, 무인 키오스크 환전 서비스 등 주요 금융 서비스를 Web3 친화형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기존 전통 금융 인프라를 유지하면서도 오픈에셋의 블록체인 기술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자체 R&D 부담 없이 신속한 시장 출시가 가능하다는 점이 전략적 투자의 배경이다.

김경업 오픈에셋 대표는 “더즌의 이중화된 안정적 금융망을 바탕으로 스테이블코인이 실생활 금융과 연결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겠다”며, “단순한 투자 유치를 넘어 구체적인 사업 시너지를 통해 Web3와 기존 금융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모델을 현실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 최고 수준의 스테이블코인 발행기술을 기반으로 안전하고 향후 제정될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규제를 준수하는 프로세스를 갖추어 글로벌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 대행사인 팍소스(Paxos)와 같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의 선두주자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오픈에셋은 카카오 내 한국은행 CBDC사업을 수행한 CBDC본부와 사내벤처 Won CIC를 모태로,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국내 최초로 등록했으며 은행 이중서명 발행 시스템을 2개 은행과 공동으로 개발·검증했다. 또 안랩블록체인컴퍼니와의 오프라인 스테이블코인 결제 개념검증 성공, 한국투자증권 토큰증권 플랫폼(STO) 개발 주도, 한국은행 CBDC 파일럿 참여 등으로 국내 최정상급 블록체인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오픈에셋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전통자산-디지털자산 간 융합을 이끌 금융 분야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채용할 계획이며, 국내 스테이블코인 1호 인가 발행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