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코리아 공식 출범…”한국의 AI 대전환을 위한 파트너가 될 것”


챗GPT로 전 세계 생성형 AI 열풍을 일으킨 오픈AI가 한국에 공식 진출했다. 오픈AI는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픈AI 코리아’ 출범을 공식 발표했다.

OpenAI Korea Launching CSO - 와우테일

이번에 설립된 오픈AI 코리아는 아시아에서 세 번째, 전 세계에서는 열두 번째 지사다. 오픈AI가 미국 본사를 제외하고 해외에 설립한 지사 중에서도 상당히 빠른 순서로, 한국을 글로벌 AI 시장의 핵심 거점으로 평가했다는 분석이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와 혁신적인 기업들, 그리고 빠른 기술 수용 능력을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고 평가했다. 그는 “오픈AI가 첨단 기술과 다양한 협력을 통해 산업·학계·정부 전반에서 한국의 AI 전환을 함께 이끌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실제로 한국의 챗GPT 이용 현황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국내 주간 사용자 수는 작년 대비 4배나 증가했고, 유료 구독자 규모도 3배 이상 늘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성장했다. 또한 오픈AI API를 활용하는 개발자 수 기준으로도 전 세계 상위 10개국에 포함될 정도로 활발한 생태계를 보여주고 있다.

오픈AI는 이미 국내 주요 기업들과 본격적인 협력에 나서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 2월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챗GPT를 카카오 생태계와 연동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오는 23일 열리는 카카오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카카오’에서는 양사가 공동 개발한 AI 에이전트가 첫 공개될 예정이다.

기업용 서비스 도입도 활발하다. GS건설, 토스, KT 등은 임직원을 대상으로 ChatGPT 엔터프라이즈를 도입했고, LG전자는 제조업과 연구개발 부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이를 활용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마케팅 분야에서 AI 기술 보급 확대에 나서고 있다.

하드웨어 분야에서의 협력도 주목된다. 권 CSO는 “삼성전자와 SK 같은 세계적 반도체 기업들과 데이터센터나 하드웨어 부분에서 파트너십을 고려하고 있다”며 “상호 보완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로컬 파트너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학계와의 협력도 본격화된다. 오픈AI는 11일 서울대학교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연구 협력의 첫 발을 내딛는다. 이와 함께 ‘오픈AI 포 컨트리즈’ 이니셔티브를 통해 한국 정부와의 협력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권 CSO는 “한국은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전 영역을 아우르는 풀스택 AI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며 “이런 기반을 통해 소버린 AI 역량을 제공하면서도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지원도 계속된다. 오픈AI는 지난 2월 국내 첫 개발자 워크숍인 빌더랩을 개최한 데 이어, 12일에는 스타트업과 개발자, 벤처캐피털을 연결하는 ‘파운더스 데이’를 개최한다. 11월에는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를 국내에서 열 예정이다.

오픈AI는 11일 기업·정부·학계·예술계 인사들을 초청해 지사 출범 축하 행사를 개최한다. 제이슨 권 CSO와 브래드 라이트캡 COO, 올리버 제이 글로벌 비즈니스 총괄 등이 참석하며, 조앤 장 오픈AI 랩스 대표가 ‘AI: 인류 협업과 혁신의 새로운 엔진’을 주제로 패널 토론을 진행한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