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채용 ‘주스박스’, 3600만 달러 투자 유치.. “채용 전 과정 자동화”


AI 기반 채용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주스박스(Juicebox)가 세쿼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 주도로 36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juicebox cofounders - 와우테일

이번 투자는 세쿼이아 캐피털이 이끈 3000만 달러 시리즈A와 앞서 조달한 600만 달러 시드 투자를 합친 규모다. 시리즈A 라운드에는 코아투(Coatue), NFDG, 와이콤비네이터(Y Combinator), 럭스 캐피털(Lux Capital), 본드(BOND) 등이 함께했다.

2022년 각각 22세, 19세였던 데이비드 패펜홀츠(David Paffenholz)와 이샨 굽타(Ishan Gupta)가 설립한 주스박스는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한 채용 검색 엔진 ‘PeopleGPT’를 서비스하고 있다. 기존 키워드 중심 검색과 달리 자연어로 후보자의 프로필과 경력을 분석해 최적의 인재를 찾아준다는 게 핵심이다.

창업자들은 기존 채용 도구들이 이력서나 링크드인 프로필에서 키워드를 찾는 방식에 한계가 있다고 봤다. 채용담당자가 여전히 프로필을 일일이 검토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AI로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주스박스의 성장세는 눈에 띈다. 2023년 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여 만에 2500여 개 고객사를 확보했고, 연간 반복매출(ARR)은 1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현재 하루 수천 건의 검색이 처리되고 있으며, 지난 1년간 매출이 10배 이상 급증했다.

특히 창업 초기 직원 4명으로 2000명의 고객을 모았다는 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현재는 직원을 12명으로 늘렸지만 여전히 별도 영업팀 없이도 고객이 몰리고 있다.

고객사로는 핀테크 기업 램프(Ramp), 질의응답 플랫폼 쿼라(Quora),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Perplexity) 등이 있다. 초기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회사들이 이용 중이다.

세쿼이아 캐피털의 데이비드 칸(David Cahn) 파트너는 “스타트업 창업자 한 명이 주스박스만으로 전문 헤드헌터 없이 10여 명을 채용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이전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고 투자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스트라이프처럼 모든 스타트업의 필수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주스박스는 단순히 후보자를 찾아주는 것을 넘어 채용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있다. AI 에이전트가 24시간 검색부터 평가, 후보자 연락까지 처리한다. 적합한 후보자를 찾으면 자동으로 이메일을 보내고 면담 일정까지 잡아준다.

패펜홀츠 공동창업자는 “기존 검색에서는 찾을 수 없는 숨은 인재들을 발굴할 수 있다”며 “프로필에 관련 키워드가 없어도 AI가 문맥을 파악해 적합한 후보자를 찾아낸다”고 말했다.

AI 채용 시장에는 에이트폴드(Eightfold) 같은 기존 업체들도 AI 기능을 강화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하지만 주스박스는 처음부터 AI에 특화된 접근법으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조달한 자금은 팀 확장과 AI 에이전트 고도화, 서비스 개발에 쓰일 예정이다. 회사는 현재 15개 직책에 대해 채용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