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이후 벤처투자 2.4배 증가, 비수도권은 0.35% 감소…쏠림 현상 심화


2025년 상반기 벤처투자금액이 수도권에만 78.6% 집행되며 지방과 불균형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동아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서대문갑)은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광역지자체별 벤처기업확인 기업’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벤처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2 5 - 와우테일
1 4 - 와우테일

수도권 벤처기업이 2011년 14,836개에서 2025년 24,760개로 66.8%(9,924개) 급증한 반면, 비수도권 벤처기업은 같은 기간 11,312개에서 13,116개로 15.9%(1,804개) 소폭 증가에 그쳤다. 

특히 2015년 이후 10년간 수도권이 36.8% 증가한 것에 비해 비수도권은 오히려 0.35% 감소하는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지방의 벤처생태계의 취약성은 더욱 심각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5년 현재 지역 벤처기업 분포 비율을 보면 세종 0.6%, 제주 0.7%로 가장 열악했고, 이어 울산 1.2%, 광주·전남·강원이 각각 1.8%, 전북 2.3%, 충북 2.5% 등으로 대부분 지역이 2% 내외에 머물렀다.

이는 벤처투자 규모는 크게 늘었지만 여전히 수도권에만 집중되면서 나타난 결과다. 전국 벤처투자 금액이 2010년 1조 506억 원에서 2025년 상반기에만 2조 5,207억원으로 15년간 2.4배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수도권 집중도는 74.3%에서 79.6%로 오히려 높아졌다. 2025년 상반기 기준 서울 53.7%, 경기 23.1%, 인천 2.8%로 수도권이 전체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했다.

김동아 의원은“벤처투자의 규모는 증가하고 있지만 지방까지는 닿지 못하고 있다”며 “이는 지방 벤처 생태계를 뒷받침할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벤처캐피탈의 90%(225개), 벤처투자조합 LLC의 90%(44개), 창업지원 엑셀러레이터의 67%(330개)가 모두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지방 기업들의 투자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상황이다.

김동아 의원은 “이대로라면 지역 창업기업은 지방에서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수도권으로 떠날 수밖에 없고, 결국 지역 간 경제·일자리 격차가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지역 균형발전이 매우 중요하며, 세제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방 유인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