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허브-픽스업] 광고 마케팅의 해답을 새롭게 제시한다➀ ‘아크론’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서비스와 기술을 접하며 이용한다.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와 기술 인프라 안에서 여전히 비효율적인 문제와 과도 비용, 불편한 사용자 경험 등의 문제를 날카롭게 포착해 해결하는 기업들이 있다. 판교경기문화창조허브를 기반으로 성장 중인 스타트업들은 이러한 페인포인트를 포착하고, 데이터·AI·콘텐츠 기술을 통해 효율적, 합리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쉽게 풀리지 않던 각 산업 분야의 ‘뾰족한 니즈’를 기회로 바꾸는 이들의 전략과 혁신을 소개한다. 
pangyohub - 와우테일

가장 먼저 살펴볼 광고/마케팅 분야는 그 어떤 산업군보다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 광고를 보고,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과도한 제작 비용, 비효율적인 집행 구조, 낮은 개인화 수준 등 여전히 풀리지 않은 문제들이 자리하고 있다. 판교경기문화창조허브 지원지업인 아크론, 코이비스, 피치에이아이, 커넥토, 데이터아트, 플래콘 등은 이러한 마케팅 산업의 페인포인트를 정면으로 겨냥한다. AI 자동화부터 데이터 기반 타기팅, 실시간 성과 측정 솔루션까지, 이들은 ‘우리가 늘 쓰지만 불편했던’ 광고 시스템을 똑똑하게 뒤집고 있다. 

AKronAnodos 1 - 와우테일

브랜드마다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야 하는 시대지만, 현실에서는 정반대의 문제가 반복된다. 1인 쇼핑몰 운영자부터 중소 제조사, B2B 서비스 기업까지 대부분은 전문 마케터를 둘 여력이 없고, 외주 대행사에 맡기자니 높은 비용과 의사소통 과정에서 브랜드의 본질이 희석된다. 기존의 마케팅 도구들은 채널별 콘텐츠 제작이나 일정 관리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브랜드가 가진 핵심 메시지를 이해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전략적으로 말해주는 존재는 아니다. 

그 결과 웹사이트·SNS·뉴스레터마다 말투와 표현이 제각각이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브랜드의 정체성은 흐릿해진다. 캠페인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하는 과정 역시 수기로 정리하거나 엑셀로 반복 작업을 해야 해 실무자의 피로도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아크론은 이 고질적인 페인포인트를 ‘브랜드를 이해하는 AI 에이전트’라는 방식으로 풀어낸다. RAG 기반 플랫폼 ‘아노도스(Anodos)’는 기업이 보유한 웹사이트, SNS 게시물, 홍보자료, 문서 등 모든 디지털 자산을 통째로 벡터화해 학습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브랜드 고유의 톤앤매너를 파악한다. 

이후 콘텐츠 기획·카피 작성·퍼블리싱·CRM·효과 분석까지 마케팅 전 과정을 하나의 에이전트가 수행한다. AI 추천에 그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에이전트에게 “이번 캠페인은 기존 고객의 재구매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해줘”라고 지시하면, AI가 즉시 브랜드 맥락에 맞는 메시지와 실행 플로우를 제시하는 구조다.

마케팅 자동화의 기준을 ‘속도’나 ‘저비용’이 아닌 ‘브랜드 정체성 유지와 전략적 일관성’에 둔 것이 아크론의 차별점이다. 판교경기문화창조허브의 인프라와 네트워킹 지원을 바탕으로 빠르게 솔루션을 고도화해 ‘에이전트가 마케터 역할을 수행하는 시대’의 실질적인 프로토타입으로 자리매김 할 전망이다.

AKronAnodos 4 - 와우테일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