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바이오 제조 ‘제트론’, 블루포인트로부터 시드투자 유치


차세대 ‘화이트 바이오’ 제조 기업 제트론블루포인트파트너스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23일 밝혔다. 투자 금액과 기업가치는 비공개다. 화이트 바이오는 식물, 미생물 등에서 얻은 유기물을 생물학적 공정을 통해 다양한 에너지·화학 제품의 소재로 전환하는 산업. 그린 바이오, 레드 바이오와 함께 3대 바이오 산업으로 불린다. 

zetrone - 와우테일

제트론은 저온플라즈마(LTP)와 합성생물학(SynBio), AI 기술을 융합해 최고 효율의 바이오 화학 제조를 수행한다. 기존 화이트 바이오 공정의 에너지 장벽을 저온 플라즈마 기술을 통해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제트론은 창업 6개월 만에 물리적 전극 없이 미생물 발효를 제어하는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바이오 제조 분야의 근본적인 수율 한계와 전극 오염 및 비용 문제를 해결해 큰 파급력을 만들어 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제트론은 기존 기술의 해외 유전자원 의존성 및 관련 IP 제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생물자원 기반 미생물을 활용하는 차별화 전략을 추진한다. 최근 중요성이 두드러지는 국가 바이오 안보 강화에 기여하는 사례라는 평가다. 

블루포인트는 조인진 대표가 가진 독보적 기술력과 빠른 실행력,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화이트 바이오 산업의 성장성에 주목해 제트론에 투자를 단행했다. 글로벌 화이트 바이오 시장 규모는 연평균 10% 이상 성장을 거듭해 2028년에만 5609억달러(약 802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민남기 블루포인트 수석심사역은 “제트론은 기존 바이오 제조의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을 가졌다”며 “자가순환 탈탄소 바이오 리파이너리라는 궁극적 비전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인진 제트론 대표는 “제트론은 ‘넷제로'(Net-Zero)의 에너그램으로 탈탄소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며 “‘LTP-SynBio-AI’ 기술이라는 단단한 기반과 국가 생물자원을 결합해 글로벌 시장이 직면한 지속가능한 연료 및 화학제품 생산 문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트론은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핵심 연구개발 인력 구성 및 플랫폼 기술 경제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후속 파트너십을 연이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