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AI 거품 논란 속 3분기 매출 570억 달러로 사상 최고 경신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3분기 실적을 내놓으며 AI 투자 지속성 논란을 잠재웠다. 엔비디아는 19일 2026 회계연도 3분기(2025년 8~10월) 매출이 전년 대비 62% 증가한 570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주당 순이익도 1.30달러로 시장 예상을 웃돌았다.

Nvidia companylogo - 와우테일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전망치는 매출 549억 2,000만 달러, 주당 순이익 1.25달러였다. 엔비디아는 3분기 순이익 319억 달러를 기록해 1년 전보다 193억 달러 늘었다. 전 분기와 비교해도 매출이 22% 성장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실적 발표 직후 시간외 거래에서 4% 이상 급등했다. 시가총액이 3,000억 달러 넘게 늘어난 셈이다. AI 버블 논란 속에서도 엔비디아의 실질적인 수익 창출 능력이 입증된 결과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AI가 모든 곳에서, 모든 일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에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그는 블랙웰 판매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클라우드 GPU는 완판 상태라고 밝혔다. 황 CEO는 컴퓨팅 수요가 AI 훈련과 추론 양쪽에서 계속 가속화되며 복합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의 성장을 이끈 건 데이터센터 부문이다. 3분기 데이터센터 매출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512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컴퓨팅 매출이 430억 달러로 전년 대비 56% 늘었고, 네트워킹 매출은 82억 달러로 162% 급증했다. 네트워킹 매출의 폭발적 성장은 GB200과 GB300 시스템에 필요한 NVLink 컴퓨팅 패브릭 수요 덕분이다.

콜레트 크레스 엔비디아 CFO는 실적 발표에서 블랙웰 울트라가 현재 모든 고객 카테고리에서 주력 아키텍처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GB300이 블랙웰 전체 매출의 약 3분의 2를 차지했으며, GB300으로의 전환이 매끄럽게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블랙웰 생산 규모는 주당 약 1,000 랙에 달한다.

크레스는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초부터 2026년 말까지 블랙웰과 차세대 칩 루빈으로부터 5,000억 달러의 매출 가시성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황 CEO가 최근 GTC 콘퍼런스에서 밝힌 5,000억 달러 규모의 주문 잔고를 재확인한 것이다.

엔비디아는 강력한 4분기 전망도 내놨다. 회사는 4분기 매출이 650억 달러(±2%)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 전망치 616억 6,00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매출총이익률도 75% 내외를 유지할 전망이다.

다만 중국 시장 실적은 부진했다. 크레스는 현 세대 블랙웰 칩을 중국에 출하하지 못해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H20 칩에 대한 수출 허가를 받았지만 분기 동안 5,000만 달러의 매출만 발생했다. 그는 지정학적 이슈와 중국 시장의 경쟁 심화로 대규모 주문이 이번 분기에 실현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엔비디아는 마이크로소프트, 앤트로픽과 300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앤트로픽에 최대 50억 달러를, 엔비디아는 최대 100억 달러를 투자하며 앤트로픽의 기업가치는 3,500억 달러 수준으로 평가됐다. 앤트로픽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로부터 300억 달러 규모의 컴퓨팅 용량을 구매하고, 엔비디아로부터는 최대 1기가와트 규모의 그레이스 블랙웰과 베라 루빈 시스템 컴퓨팅 용량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는 클라우드 기업들과 빅테크 기업들의 AI 인프라 투자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알파벳 등 주요 고객사들은 최근 분기별 실적 발표에서 AI 구축을 위한 자본 지출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이들은 올해 총 3,8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엔비디아는 3분기 동안 12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2억 4,300만 달러의 배당금 지급을 통해 주주환원을 이어갔다. 회사는 다음 분기 배당금을 주당 0.01달러로 유지하기로 했다.

게이밍 부문 매출은 43억 달러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다만 전 분기와 비교하면 1% 감소했다. 엔비디아는 보더랜즈 4, 배틀필드 6, ARC Raiders 등의 타이틀에 DLSS 4 멀티 프레임 생성 기술과 리플렉스 기술을 적용했다.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 이후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동반 상승했다. AMD와 마이크론은 시간외 거래에서 4% 이상 올랐고, 브로드컴도 2% 넘게 올랐다.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주요 빅테크 기업 주가도 함께 상승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 짐 슈나이더는 이번 분기 실적에서 큰 문제를 발견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시장에서는 여전히 이 분야의 경쟁 심화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컨스텔레이션 리서치의 CEO 레이 왕은 엔비디아를 AI 산업의 대표 기업으로 평가하며 버블 논란을 일축했다. 그는 인터넷 버블 시대와 달리 현재는 실제 수익을 기반으로 한 자본 지출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설명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