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중국 인터넷 리포트 2019.. 전세계가 중국을 따라하는 것은 뭘까?
중국 인터넷 산업 현황에 대한 좋은 자료가 있어 소개한다. 원본 자료는 여기에서 볼 수 있고 다운로드도 받을 수 있다.

미국과 중국 인터넷 현황에 대한 개괄적인 비교. 중국 인터넷 이용자는 8.3억명으로 미국 2.9억명을 압도하고 아직도 14억 인구의 60%에 지나지 않아 성장 가능성이 남아 있다. 특히 모바일 이용 비중이 압도적이고 모바일 결제 이용자 수도 5.8억명에 이른다. 인구 대비 침투율이 42%인데, 19%인 미국을 훨씬 앞선다.

아래는 최근 몇 년 동안 기업공개한 스타트업에 대한 통계이다. 작년에 무려 56개 스타트업이 기업공개했는데, 28개는 홍콩 증시, 나머지 28개는 미국 증시에 상장했다.
올해 상장이 유력한 회사 중 가장 주목받는 곳은 동영상앱인 틱톡(Tiktok)을 서비스하는 바이트댄스(ByteDance)와 Kuaishou이다. 현재 회사 가치는 각각 750억달러와 250억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중국의 주요 인터넷 기업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텐센트(Tencent)와 알리바바(Alibaba)가 시가총액 4,100억달러로 거의 비슷한데, 글로벌 5위인 페이스북 시가총액이 5,400억달러이다. 국내 1위인 삼성전자가 300조 정도이니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
비상장 회사 중에 틱톡(TikTok)을 서비스하는 바이트댄스(ByteDance)가 750억달러로 1위로 알고 있었는데, 알리바바의 금융 회사인 Ant Financial의 기업가치가 무려 1,500억달러에 이른다.


작년 1월부터 스타트업들이 홍콩 및 미국 증시에 상장하면서 투자자들에게 상당한 수익을 안겨줬는데, 아래와 같은 중국 스타트업이 있다. 와우테일을 통해 몇 업체는 소개한 바 있다. 음식 배달 서비스인 Meituan Dianping, 스타벅스를 겨냥하고 있는 루이싱커피(Luckin Coffee), 전기자동차를 만드는 니오(Nio) 등이다.

중국 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투자하는 곳은 아래와 같은데, Sequoia Capital이 단연 1등이다.

중국 인터넷을 좌지우지하는 업체로 BAT(Baidu, Alibaba, Tencent)를 이야기했는데, 최근에는 TMD(Toutiao, Meituan Dianping, Didi Chuxing)이 부상하고 있다. Toutiao는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미디어 서비스이다.
- 중국 전문 MCN ‘아도바’, 러시아 크리에이터 중국 진출 돕는다
- 샌드박스, 中 ‘비리비리(bilibili)’서 구독자수 130만 돌파
- 중국 전문 MCN ‘아도바’, 10억원 투자유치.. “국내 크리에이터 중국 진출 도울 것”
- 중국 전문 MCN ‘아도바’, 콘텐츠 크리에이터 100명 돌파…중국 영상 콘텐츠 시장 개척
- 홍콩 기반 핀테크 ‘니트(Neat)’, 1100만달러 투자유치
- 틱톡, 2019년 4분기 매출 5천만달러 돌파.. 작년 동기 대비 300% 이상 증가
- 창업진흥원, SOSV 초청.. 국내 스타트업 중국-동남아 진출 지원
- 노르마, 중국 버그뱅크와 30억원 계약…IoT 보안 수출 본격화
- 경기혁신센터, 중국 항저우시와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협력
- 현대차그룹, 베이징에 5번째 이노베이션 센터 열어

중국 인터넷 산업의 2019년 4대 트렌드를 꼽는다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좀 더 심플하게 요약하면 슈퍼앱(Super App), 5G, AI, Social Credit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인터넷 업체는 미국/한국 등의 카피캣으로 출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는 미국/한국에서 중국을 카피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나의 앱에 모든 기능을 통합하는 슈퍼앱(Super App) 전략은 중국의 경쟁사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일본의 라인(Line), 동남아의 그랩(Grab)과 고젝(Go-jek), 인도의 올라(Ola), 카카오톡 등 모두가 따라하는 전략이 됐다.

중국 인터넷의 신흥강자로 부상 중인 TMD도 각각 동영상, 음식배달, 승차공유로 시작했지만, 결제, 미디어 등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슈퍼앱으로 진화 중이다.
이제는 전 세계가 중국을 카피하는 서비스는 위에서 소개한 슈퍼앱 외에 방송과 결합된 커머스(Social+ for Ecommerce), 짧은 동영상(Short Video)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중국 인터넷 서비스 현황을 알 수 있는 각 분야별로 자세한 내용이 많으니, 여기에서 볼 수 있고 다운로드도 받을 수 있다.
- 올해 1분기 모바일 게임 거래액은 역대 최고치인 1.65조원.. 구글플레이가 78%
- 국내 가상화폐 앱 사용자 300만명 돌파.. ‘업비트’가 독보적 1위
- 넷플릭스, 월사용자 1,000만명 돌파.. 국내 시장 압도적 1위
- 아산나눔재단, 기업가정신 리뷰 사례 7건 추가 발행
- 앱애니, 전 세계 상위 퍼블리셔 발표.. 넷마블-엔씨-게임빌-더블유 이름 올려
- NIA,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 보고서 발간
- 배달의민족, 작년 배달 트렌드 발표.. “한달에 5번 주문, 95%는 앱에서 바로 결제”
- 무협,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는 선진국-후기단계 위주로 변화
- 2020년 벤처펀드 6.6조원 결성.. 전년 대비 54% 증가하며 역대 최초 6조 돌파
- 2020년 10개 분야 모바일앱 트렌드 살펴보니.. “동학개미 1,000만명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