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베이징에 5번째 이노베이션 센터 열어
현대차그룹은 중국 베이징에 ‘크래들 베이징(Hyundai CRADLE Beijing)’을 공식 개소하고 중국 현지 전략적 파트너들과의 협력에 박차를 가한다.

‘크래들 베이징’은 미국의 ‘현대 크래들 실리콘밸리’와 한국의 ‘제로원’, 이스라엘의 ‘현대 크래들 TLV(텔 아비브)’, 독일의 ‘크래들 베를린’에 이은 현대차그룹의 다섯 번째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다.
그동안 현대차그룹은 AI(인공지능), 모빌리티,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로보틱스 등 미래 핵심 분야 선도를 목표로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를 위해 전 세계 혁신 거점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구축해왔으며 이번 ‘크래들 베이징’ 공식 개소를 통해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를 완성했다.
현대차그룹은 ‘크래들 베이징’을 통해 중국 현지의 ICT 대기업과 미래 핵심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대학, 정부, 투자 기관 등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크래들 베이징’의 피터 양(Peter Yang) 사무소장은 “전 세계가 정보기술(IT) 시대에서 ‘데이터 기술(DT) 시대’로 전환해감에 따라 크래들 베이징은 중국 현지 혁신 네트워크와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개방형 혁신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구축하려 노력할 것”이라며 “크래들 베이징은 전 세계에 중국으로부터 발원한 혁신 솔루션을 공유하는 허브로 기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이자 세계 2대 창업대국 중 하나로 현대차그룹의 ‘크래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최적의 입지를 갖추고 있다. 특히 베이징 시는 중국의 청년창업센터인 중관촌이 위치해 있을 뿐 아니라 벤처 캐피탈 투자사가 집중돼 있어 ‘창신 정책의 발원지’라 불린다.
현대차그룹은 2018년 말 칭화대학교와 ‘수소에너지 펀드’ 공동 설립 계획을 발표했으며 2018년 CES 아시아에서는 중국 인공지능 기술 분야 최고 기술력을 자랑하는 딥글린트(DeepGlint)와의 협업 계획을 발표하는 등 중국 현지 파트너들과 함께 다양한 미래 기술 파트너십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 🎙️파블로항공, IPO 나선다 “24년 코스닥 상장 목표”
- [Startup Together] Wright Brothers revolutionizes the cycling lifestyle
- 모빈-어플레이즈 등 현대차 사내벤처 4개社 분사
- 소프트베리, 출장 정비 플랫폼 ‘카수리’와 전기차 무상 점검 이벤트 진행
- 파라메타-스피젠-파이프라인, STO 활용한 모빌리티 조각투자 플랫폼 구축에 맞손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기업 13위 차지
- 중고차 플랫폼 ‘카머스’, 한국타이어에서 30억원 투자유치
- ‘타다’, 이동 거리에 따라 요금 나눠내는 기능 출시
- GBike, operator of shared scooters, raises pre-Series C funding, plans IPO in 2025
- 공유 킥보드 ‘지쿠’ 운영사 지바이크, 프리시리즈C 투자 유치 “25년 IPO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