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커넥트, AI랩 신설… 온디바이스 AI 개발 박차
글로벌 영상 기술 기업 하이퍼커넥트가 오늘 사내 AI(인공지능) 연구조직을 통합해 AI랩으로 승격시키고, 온디바이스 AI 연구 분야 확장과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하이퍼커넥트는 2016년 구글과 협업해 머신러닝 기반의 실시간 음성 번역 기능을 아자르 어플에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모바일에 최적화된 AI 기술을 개발하는 데 주력해왔다. 특히 가볍고 빠른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를 개발하는데 집중해 2017년 2월 온디바이스 AI 기반의 이미지 인식 기능을 아자르 어플에 탑재하는 데 성공했다.
온디바이스 AI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기(디바이스)에서 처리해 실시간으로 빠른 AI를 구현하는 동시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한정적인 CPU 성능, 배터리 소진, 발열, 다양한 OS 환경과 기기 모델 등 모바일 기기가 갖는 고유한 기술적 한계로 인해 구글, 페이스북, 텐센트와 같은 글로벌 IT 기업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다.
하이퍼커넥트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현재 모바일에서 실시간으로 구동 가능한 온디바이스 딥러닝 모델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 상당수를 실제 서비스에 적용해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CVPR 2018에서 진행된 ‘저전력 이미지 인식 챌린지(LPIRC)’에서는 퀄컴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올해 9월에는 음성언어처리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인터스피치 2019’에 논문이 채택되며 음성인식 분야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하이퍼커넥트는 이번 AI랩 신설을 통해 AI 기술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연구 분야를 기존의 이미지 및 음성인식에서 텍스트, 자연언어처리, 추천 시스템 등으로 확장해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석박사급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머신러닝 엔지니어를 공격적으로 채용한다.
29일부터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ICCV 2019 (국제 컴퓨터비전 학회)에도 참여해 국내외 머신러닝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이퍼커넥트의 온디바이스 AI 연구 성과를 시연한다.
하이퍼커넥트 용현택 CTO는 “하이퍼커넥트 AI 조직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대규모 글로벌 서비스에 실제로 적용하고, 이후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해 기술을 개선해나가는 선순환 구조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해왔고, 이제는 하이퍼커넥트가 개발하는 모든 제품에 AI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과감한 투자를 통해 AI 분야에서도 빠르게 글로벌 시장을 선점해 나가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 에너자이, 3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 AI 최적화 ‘노타’, 카카오인베스트먼트로부터 투자 유치
- AI 최적화 ‘노타’, 175억원 투자유치.. “엣지 AI 기술 고도화”
- AI 모델 경량화 ‘노타’, 엔비디아 메트로폴리스 파트너에 선정
- 온디바이스 AI ‘노타’, AI 기술로 상습정체 구간 통행 속도 개선
- 하이퍼커넥트, 기업용 영상통화-AI-AR 서비스 제공.. “줌(Zoom) 한판 붙자”
- 마인즈랩, 美 블레이즈와 협력.. “엣지 AI 시장으로 영역 확장”
- 하이퍼커넥트, 내년에 ‘AI 휴먼’ 활용 소셜서비스 출시.. 올해만 100억원 투자
- IoT 센서 ‘뉴로센스’, 진영전기에서 6억원 투자유치
- 온디바이스 AI ‘노타’, IFA에서 AI 경량화 기술 선보여
- 루닛, 3차원 유방암 검진 AI 솔루션 유럽 판매 개시
-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엑셀 등 MS365에도 초거대AI 적용
- 스켈터랩스, 자사 대화형 AI 솔루션에 챗GPT 연동
- 뤼튼테크놀로지스, 최대 연봉 1억원 프롬프트 엔지니어 공개 채용
- 3D 아바타 커뮤니케이션 ‘굳갱랩스’, 네이버 D2SF서 투자 유치
- AI연구 ‘코르카’, 70억원 규모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챗봇⬝음성봇으로 알뜰폰 고객 서비스 강화
- “생성형 AI, 돌풍은 맞지만…” 옴디아, ‘2023 생성형 AI 시장 전망 보고서’ 발표
- 부동산의신, GPT 기반 AI 지도 서비스 출시
- 카카오브레인, ‘칼로 100X 프로그램’ 참여 스타트업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