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권대장, “직원 1인 식대는 월 10만원”
오피스 푸드테크 기업 벤디스가 자사의 모바일 식권 솔루션 ‘식권대장’을 사용하는 350개 기업의 식대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기업이 직원 1명에게 지급하는 평균 식대는 한 달에 10만원이라고 12일 밝혔다.

식권대장은 종이식권, 식대장부, 법인카드 등 기업이 직원에게 식대를 지원하기 위해 운영하는 모든 수단을 모바일 앱 기반으로 전환한 서비스다. 최근에는, 급여에 식대를 포함하다가 복지 차원에서 식대를 추가 지급하기 위해 식권대장을 도입하는 기업도 꾸준히 늘고 있다.
식대 지원은 가장 대표적인 기업 복지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8 회계연도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이하 노동비용 조사)에 따르면, ‘법정 외 복지 비용’ 중 32.5%가 식사 비용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부터 매년 진행되는 같은 조사에서 식사 비용은 법정 외 복지 비용에서 30~40%의 점유율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식대를 지원하는 기업이 직원 1인당 월 10만 원가량 지출한다는 점은 다른 자료를 통해서도 유추할 수 있다. 벤디스가 빅데이터 전문 기관 ‘한국기업데이터’의 기업 정보를 활용해 ‘직원 1인당 복리후생비 월 10만 원 이상 지출 기업’ 45,464곳을 분석한 결과, 1인당 복리후생비는 월 평균 334,901원으로 나타났다. 노동비용 조사에서 식사 비용이 차지한 비율을 복리후생비에도 적용하면 이 중 식대는 108,843원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같이 기업이 직원 복지를 위해 식대를 보조함으로써 형성되는 시장은 연간 약 20조 원 규모로 추산된다.
식대 지원이 기업에게 주목받는 이유는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도 높은 복지 만족도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천정부지로 오르는 외식 물가에 주머니 사정이 팍팍해진 직장인들에게 식대 지원은 가뭄에 단비 같은 복지다. 식권대장 사용자의 1회 평균 결제 금액을 2017년부터 연도별로 살펴보면 ▲7,020원 ▲7,412원 ▲7,493원이다. 직장인의 한 끼 밥값이 2년 사이 500원 가까이 오른 것이다.
벤디스 조정호 대표는 “직원들이 매일매일 복지 혜택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는 점이 식대 지원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 “인재 채용,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해 기업들이 복지를 강화하는 추세 속에서 식권대장은 가장 보편적인 기업 복지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서울창업허브, 키친인큐베이터 푸드테크&제조 푸드메이커 3기 모집(~5/7)
- 레스토랑 예약 ‘캐치테이블’, DSC인베 등에서 투자유치
- 롯데액셀러레이터, 위쿡과 푸드테크 스타트업 육성 ‘미래식단’ 1기 모집(~5/14)
- [실리콘밸리 소식] 홈트레이닝 ‘템포’, 소프트뱅크 등에서 2.2억달러 투자유치
- 반찬가게로 시작한 ‘구선손반’, MYSC에서 시드 투자유치
- 농산물 산지직송 ‘식탁이있는삶’,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투자유치
- 소풍벤처스, 농식품 분야 액셀러레이팅 ‘임팩트어스 2021’ 참가팀 모집(~4/18)
- 씨엔티테크, 농식품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FAST Track’ 참가팀 모집(~4/9)
- 배달의민족, 작년 거래액 15조-매출 1조원 돌파
- 식물성 대체식품 ‘더플랜잇’, 40억원 투자유치.. 누적 63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