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애니메이팅 자동화 ‘플라스크’, 네이버 D2SF에서 투자유치
네이버의 기업형 액셀러레이터 D2SF가 영상 속 인물의 움직임을 3D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기술 스타트업 ‘플라스크(Plask)’에 신규 투자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네이버 D2SF가 매 학기 진행 중인 캠퍼스 기술창업 공모전으로 발굴 및 인큐베이팅 해 투자까지 이어진 5번째 사례다.

플라스크는 지난 7월에 스프링캠프에서 투자를 받은 바 있고, 올해 정식으로 시작한 와우톡의 첫번째 인터뷰를 진행한 바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플라스크는 딥러닝 및 포즈 추출 기술을 활용해, 영상 속 인물의 모습을 3D 캐릭터 모션으로 구현하는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게임, 애니메이션 등 캐릭터 콘텐츠 제작에 있어, 인물의 모션을 캡쳐 및 후처리해 3D 모델에 적용하는 애니메이팅 단계는 고가의 장비와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된다. 플라스크가 개발 중인 솔루션은 이러한 애니메이팅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콘텐츠 제작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올해 말 베타서비스 출시 예정이며, 이미 모바일 게임사 엔퓨전과의 협업으로 신작 게임 개발에 시범 적용하고 있다.
포항공대 학생 창업팀으로 출발한 플라스크는 법인 설립 전인 지난해 12월, 네이버 D2SF의 캠퍼스 기술창업 공모전에 선정됐다. 지난 8차례의 공모전에서 44팀이 선정됐고, 이 가운데 15팀이 법인 설립 및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특히, 플라스크, 모빌테크, 포자랩스, 제제듀, 그리고 네이버 웹툰에 인수된 비닷두 이상 5팀은 네이버 D2SF가 직접 투자까지 이어갔다.
플라스크 이준호 대표는 “네이버 D2SF의 캠퍼스 기술창업 공모전을 거치며, 아이디어 수준에 머물렀던 AI 모션캡쳐 기술을 시장 니즈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었다”라며 “이번 투자를 발판 삼아 연내 출시 목표인 제품 완성도를 한층 더 높일 것이며, 네이버와의 시너지 또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네이버 D2SF의 양상환 리더는 “6개월의 인큐베이팅 기간 동안 플라스크는 기술 개발 및 시장 학습에 있어 빠른 성장과 실행력을 보여준 팀”이라며, “앞으로도 초기 단계의 대학(원)생 창업팀과 적극 교류하며, 이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 및 투자하겠다”라고 밝혔다.
- 크라우드웍스-테스트웍스, 데이터 라벨러 전문성 강화 맞손
-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비씨카드에서 99억원 투자유치.. “AI로 투자 문턱 낮춰”
- 퓨처플레이-데이타솔루션, AI-빅데이터 분야 스타트업 공동 발굴
- AI 오디오 ‘수퍼톤’, 빅히트엔터에서 40억원 투자유치
- 프로그래머스, AI-자율주행 실무인재 양성 데브코스 참가자 모집(~3/12)
- 알티엠-고려대, AI기반 스마트팩토리 제조공정 솔루션 공동 개발
- 아이딕션, 신체 사이즈 측정 ‘사이즈잇’ 출시.. “헬스케어 서비스로 확대”
- AI 골프 스윙 코치 ‘골프픽스’, 더벤처스-김기사랩에서 투자유치
- 온디바이스 AI ‘노타’, AI 기술로 상습정체 구간 통행 속도 개선
- AI 모빌리티 광고 플랫폼 ‘달고’, 퓨처플레이에서 시드 투자유치
- 원스토어, KT-LG유플러스에서 260억원 투자유치
- 770억 투자받은 ‘베이글코드’, 개발자에 최소 2,300만원 연봉 인상
- 뉴아이디, 미국 No.1 TV 스트리밍 플랫폼에 핑크퐁-케이팝 채널 런칭
- 북마크-큐레이션 ‘피큐레잇’, 기업은행-씨엔티테크에서 시드 투자유치
- 콘텐츠 오픈 플랫폼 ‘포스타입’, 12개 직군 최대 30명 채용
- 왓챠, 두번째 익스클루시브 시리즈 ‘코요테’ 공개
- 오디오북 ‘윌라’, 250억원 투자유치.. 누적 460억원 투자받아
- 가상 소셜 영화관 ‘스크리나’, 매쉬업엔젤스 등에서 시드 투자유치
- 오디오 방송 ‘스푼’, 작년에 아이템 837억원 팔아.. “일본이 50% 이상 기록”
- AR 의료영상 ‘스키아’, 20억원 투자유치
보도자료 배포 editor@wowtale.net. 매일 아침에 스타트업뉴스를 들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