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P, ‘네이버클라우드’로 사명 변경.. 네이버 B2B 사업 맡는다
네이버 자회사인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NBP)’가 네이버의 모든 기업향 비즈니스 역량을 통합해 ‘네이버클라우드’로 재출범하고 네이버의 B2B 사업 확장을 이끌게 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업용 클라우드와 AI 플랫폼, 업무 협업툴과 같은 기업향 서비스뿐 아니라 모든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와 솔루션 등 네이버가 확보하고 있는 모든 기술과 서비스들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상품화되어 제공될 예정이다.
기존에 별도로 B2B 비즈니스를 해왔던 클로바(CLOVA)와 웍스모바일(Works Mobile) 등은 네이버클라우드와의 협업 하에 완성도 높은 기술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최근 모든 기업의 서비스가 비대면 비즈니스로 전환됨에 따라 네이버의 다양한 기술과 플랫폼을 찾는 기업과 기관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네이버는 일원화된 창구와 솔루션을 통해 이들의 디지털 전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
무엇보다도 NBP는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들에 적용된 기술과 노하우를 하나로 통합해 교육, 커머스, 게임 등 각 비즈니스에 특화된 버티컬 솔루션을 만들어 글로벌 사업자들과의 차별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스토어와 결제솔루션을 묶어 ‘Cloud for Store’를 만들거나 웨일 브라우저와 교육용 디바이스 등을 기반으로 ‘Cloud for Education’ 등을 만드는 개념이다. 최근에 선보인 ‘뉴로클라우드’가 금융과 공공기관에서 요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전보다 더욱 유연한 형태로 제공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버티컬 솔루션에 대한 시장의 니즈를 확신하게 됐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NBP 박원기 대표는 “지난 3년동안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이 선보인 상품과 기술력은 글로벌 경쟁자들과 견줄 수 있는 수준으로 올라섰다” 면서 “이제 글로벌 사업자들이 깊게 다루지 못한 영역을 세분화해 하나하나 공략해 나가면서 그들과의 확실한 차별화를 만들어낼 것” 이라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NBP는 SME부터 엔터프라이즈까지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패키지를 내년 초에 선보일 예정이다.
박대표는 “모든 기업의 비즈니스가 클라우드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객의 니즈에 한층 더 다가가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이 그 흐름을 주도하게 될 것” 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내며 “우리의 서비스가 고객들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사명도 ‘네이버클라우드’로 바꾸게 됐다” 고 덧붙였다.
한편, 카카오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B2B 사업을 맡고 있는데, 최근에는 협업툴인 ‘카카오워크’를 선보인 바 있다. 이 분야도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질 듯 하다.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서비스 소식 전체보기]
- 식권대장, 배달 신규 고객사에 서비스 이용료 1년 면제
- 식자재 비용관리 ‘도도카트’, 5개월만에 거래액 300억 돌파
- 협업툴 스윗, ‘K-비대면 바우처’ 공급기업 선정
- ‘쿼타북’, 하나은행과 증권관리 통합 패키지 제공
- AI 세금신고 ‘삼쩜삼’, 누적 환급액 175억원 돌파.. “환급 세금 찾아드려요”
- 전화번호 전자출입명부 ‘나우웨이팅 체크인’, 출시 3주 만에 500개 매장 도입
- 한국신용데이터,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 서류 간편 발급 서비스 제공
- 비즈 메신저 ‘채널톡’, 두자릿수 규모 신입-경력직원 채용
- 더존비즈온, 세무회계사용 서비스 4월15일까지 무료 제공
- AI 세무회계 ‘자비스앤빌런즈’, “이용자 60만명에 28조원 관리”
보도자료 배포 editor@wowtale.net. 매일 아침에 배달되는 스타트업 뉴스 와우데일리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