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맥스모빌리티, 법인 카셰어링 시장 진출.. 국내 모빌리티 시장 경쟁 격화
휴맥스모빌리티가 ‘카플랫 비즈’를 론칭하고 본격적으로 법인 카셰어링 시장에 진출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출장과 외근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법인 카셰어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카플랫 비즈는 최근 3개월 사이 가입 기업이 5배 가까이 증가했다. 회사 측은 업무상 카셰어링 이용 비율도 월 평균 50%씩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9년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카플랫 비즈는 비용 절감 장점 외에도 기업에서 업무용으로 카셰어링을 이용할 때 겪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데 집중했다.
기존 카셰어링이 특정한 주차 구역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면, 카플랫 비즈는 하이파킹 및 건물 관리단들과 제휴해 이용 기업의 주차장에서 차량을 쓸 수 있다.
카셰어링 차량은 해당 기업 임직원만 이용할 수 있어 외부 사람 이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공급 부족이나, 차량 퀄리티 저하를 해결했다. 또 주기적으로 세차와 경정비를 서비스해 쾌적한 이용이 가능하다.
차량 상태와 운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운행 내역과 영수증도 자동 관리가 가능해 법인 차량 관리에 들어가는 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카플랫 비즈는 업무 시간 외에 임직원들에게 시중의 절반 가격으로 카셰어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법인 차량에 대한 활용도를 더 높였다.
휴맥스모빌리티는 관계사인 ‘하이파킹’과 ‘휴맥스 EV’의 인프라를 활용해 친환경 시대에 전기차를 원하는 기업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강점을 바탕으로 커지는 법인 카셰어링 시장에서 점유율을 효과적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휴맥스는 모빌리티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정하고 엄청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휴맥스모빌리티의 전반적인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한편, 국내 모빌리티 산업은 기존 카카오모빌리티 외에 쏘카-타다 그룹, SK텔레콤-우버 연합군과 더불어 휴맥스가 사업을 본격화하며 4파전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된다.
- 퓨처플레이, ‘만도 모빌리티 테크업플러스’ 시즌3 참가팀 모집(~4/4)
- 모빌리티 광고 플랫폼 ‘뿅카’, 씨엔티테크에서 시드 투자유치
- 한컴모빌리티, 성북구와 ‘IoT 공유 주차사업’ 협약
- 카카오모빌리티, 2200억원 투자유치… 기업가치는 3.4조원 달해
- AI 모빌리티 광고 플랫폼 ‘달고’, 퓨처플레이에서 시드 투자유치
- [공지] ‘모빌리티 중견기업-스타트업 연계사업’ 참여팀 모집
- 네이버 인증서로 ‘킥고잉’ 이용한다
- 뷰런테크놀로지, 라이다 센서만으로 서울-부산 자율주행 성공.. 임시면허 획득
- 공유킥보드 ‘디어’, 쿨리지코너-오픈워터에서 투자유치
- 서울로보틱스-만도, 자율주행의 눈 ‘라이다’ 양산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보도자료 배포 editor@wowtale.net. 매일 아침에 스타트업뉴스를 들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