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노, 치매 진단 보조 AI 솔루션으로 식약처 3등급 허가 획득
의료 인공지능 스타트업 뷰노는 자사의 뇌 MRI 기반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 보조 인공지능 솔루션인 뷰노메드 딥브레인 AD™ (VUNO Med®-DeepBrain AD™)가 식품의약품안전처 3등급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뷰노메드 딥브레인 AD™는 인공지능이 뇌 MRI를 자동분석해 알츠하이머 질환 가능성을 수치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솔루션은 국내 대형 의료기관에서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AUC(곡선하면적) 0.88 이상의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 정확도를 입증했다.
임상 현장에서 알츠하이머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검사와 뇌척수액 검사, MRI 검사 등이 이뤄진다. PET 검사는 비용이 많이 들고 장비의 접근성이 낮으며, 뇌척수액 검사는 침습적이고 결과 해석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뇌 MRI 검사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해마, 측두엽 등 관련 뇌 부위의 위축 등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이지만, 판독 정확도 차이로 의료진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이 요구된다는 한계점도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뷰노가 지난 2019년 6월에 출시한 뷰노메드 딥브레인®(VUNO Med®-DeepBrain®) 등 다양한 인공지능 기반 뇌 정량화 솔루션들이 출시돼 임상 현장에서 치매 진단에 활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뷰노메드 딥브레인 AD™는 알츠하이머 질환 가능성을 직접 제시하는 것으로 허가를 획득함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 조기 탐지에 유용한 임상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현준 뷰노 대표는 “뷰노메드 딥브레인 AD™가 알츠하이머 진단을 보조하는 3등급 의료기기로서 식약처 허가를 받게 돼 기쁘다”며 “이는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초래하는 치매 등 뇌 질환 관련 인공지능 알고리즘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온 뷰노의 큰 성과”라며 감회를 전했다. 더 나아가 “해당 솔루션이 인공지능 기반으로 치매 검사에 널리 사용되는 뇌 MRI를 분석해, 높은 정확도로 알츠하이머 질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임상현장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메디컬아이피,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기술평가 ‘A·A’ 획득
- 뷰노, AI 의료기기 활용 3D MRI 촬영 및 판독 심평원 급여 인정…건강보험 혜택 받는다
- 뷰노, 안국약품과 AI 기반 안저검사 공급 계약 체결
- 뷰노, 남미 의료시장 진출 시동…PACS 전문 비주얼메디카와 MOU 체결
- 정밀의료 영상기기 ‘프로이드’, 시드 투자 유치…팁스 선정
- 뷰노, AI로 폐 CT 분석한다…’뷰노메드 렁퀀트™’ 식약처 인증 획득
- 의료 AI ‘프리베노틱스’, 카카오벤처스에서 시드 투자유치
- AI 헬스케어 ‘딥카디오’, 40억원 규모 투자 유치
- 170억 투자유치 ‘휴톰’, 대규모 인재 채용 나서.. “AI 플랫폼 고도화”
- 데이터스펙트럼리서치, “AI 기반 능동형 두경부암 진단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