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나우, 누적 이용자 수 300만 돌파
원격의료 플랫폼 닥터나우가 누적 이용자 300만을 돌파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닥터나우 서비스를 론칭한 2020년 12월부터 올해 3월 20일까지 누적 이용자 수는 300만 명, 3월 주간 활성 이용자 수(WAU)가 100만 명을 넘어서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는 누적이용자 230만명을 돌파한지 10여일만에 70만명이 늘어난 수치다.
서비스 초기에는 트렌드에 민감한 2030 세대의 사용량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에는 40대 이상의 사용량이 늘어 전체 사용자의 30% 비중을 차지하는 등 이용 연령층이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닥터나우 이용자 중 가장 어린 나이의 환자는 0세이며 최고령 환자는 101세로, 영유아부터 노년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비대면 진료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증상 선택부터 약 배송 신청까지 앱에서 모두 이뤄지는 간편한 사용자 환경(UI)과 함께, 2030세대 이용자가 가족의 비대면 진료를 위해 닥터나우의 ‘가족 대리접수’ 기능을 활용한 결과다. 특히, 육아를 하는 부모나 노부모를 모시는 자녀들의 부담을 비대면 진료가 덜어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역적으로도 비대면 진료의 사용량은 고르게 늘어났다. 닥터나우는 전국 700여 개의 제휴 의료기관에서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내과, 피부과 등 19개 진료과목을 운영하고 있어 거주지나 시간에 상관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처방약 배송 역시 서울 및 수도권, 6개 광역시(일부 지역 제외)에서 당일 배송이 가능하며 전국 택배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서울, 수도권 제외 지역의 이용 건수는 전년 평균 대비 9배 이상 증가하며 지역별 의료 격차를 해소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장지호 닥터나우 대표는 “토스, 쿠팡 등 데일리 서비스 플랫폼이 2030 이용자의 지지로 시작해 현재 전국민 서비스가 된 것처럼, 닥터나우의 의료 서비스 역시 빠르게 연령대를 넘어 확장해 나가고 있다”며,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서비스 고도화와 인프라 확장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 장지호 닥터나우-이원준 하이퍼리즘 대표, 美 포브스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 30인’ 선정
- VR 뇌인지 통증⋅마비 재활 ‘라이징크래프트’,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서 투자유치
- 네이버클라우드, 유전체 분석 플랫폼 시장 진출…엔비디아-아이크로진과 솔루션 출시
- 닥터다이어리-동국대학교일산병원, 환자 맞춤형 코칭 서비스 개발 맞손
- 체외면역진단 ‘앱솔로지’, 90억원 투자유치…24년 상장 목표
- 휴이노, 자회사 휴이노에임 설립 “핵심 기술 고도화-비즈니스 확장”
- 맞춤형 영양제 관리 ‘핏타민’, 론칭 9개월만에 누적 사용자 18만명 돌파
- 원격의료산업협의회, 1회 정기총회 개최 “비대면 진료 제도 안착 기여할 것”
- 로봇 헬스케어 ‘에이치로보틱스’, 美 공략 속도…’리블레스’ 현지 로드쇼 출품
- 안구건조증 치료제 개발 ‘루다큐어’, 6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