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지원 나선다…1호는 양천구 신영시장
카카오가 소상공인의 디지털 소통을 돕는 ‘소신상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카카오임팩트, 온라인 지식 교육 플랫폼 MKYU(MK&You University), 신영시장 상인회와 함께 4자간 협약식을 체결하고, 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파일럿 시행 대상으로 양천구 신영시장을 선정하고, 오는 7월 중순부터 프로그램에 착수할 계획이다.
지난 4월 카카오는 사회의 지속가능성 기여를 위한 카카오 공동체의 상생 방안을 발표하며, 소상공인 및 지역 파트너를 대상으로 5년간 총 1,000억원의 상생 기금을 집행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소신상인 프로젝트는 본 상생 방안의 일환으로, 소신을 가지고 사업을 운영하는 전국의 상인들이 카카오톡 채널로 단골 고객을 확보하고 다양한 모바일 마케팅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프로젝트의 첫발로는 디지털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통시장을 선정했다.
이번 협약으로 카카오와 카카오임팩트는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자원을 비롯해 교육, 마케팅, 홍보 등을 지원한다. 카카오톡 채널을 기반으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해 시장 내 개별 점포의 단골 고객을 확보하고, 오프라인 방문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채널을 신규 개설하는 신영시장 상인들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채널 웰컴키트 ▲단골 고객이 채널 추가 시 지급되는 쿠폰 비용 지원 ▲채널 메시지 발송을 위한 무상캐시 등을 지원한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에 익숙치 않은 상인들을 위해 원하는 시간에 점포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직접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 환경도 조성할 예정이다. 손쉬운 게임 형태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전통시장 내에 교육 전용 공간인 ‘톡채널 라운지’를 마련해 ‘디지털튜터’를 파견한다. 디지털튜터는 약 2개월간 상주하며 카카오톡 채널 개설 및 활용 방법 등을 교육하고, 1:1 컨설팅을 상시 지원한다. 상주 기간 이후에는 디지털튜터와 전통시장 상인들이 함께 접속할 수 있는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개설해 모바일 공간에서 지원을 이어가기로 했다. 전통시장 고객 방문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캠페인과 이벤트 등도 계획 중이다.
카카오는 신영시장의 디지털 전환 지원을 시작으로, 오는 9월 전국의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한 뒤 총 10곳을 선정, 11월부터 소신상인 프로젝트 첫 번째 시즌을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사회공헌 플랫폼 ‘카카오같이가치’에서도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위한 특별한 캠페인을 운영한다. 이달 새롭게 시작한 행동 참여 프로젝트 ‘모두의행동’에서 이용자가 우리 동네 소상공인 응원에 참여하고 인증하는 캠페인을 7월 한 달 간 진행할 예정이다.
이 밖에 카카오는 최근 ESG 총괄 조직 내 ‘소상공인상생 TF’를 신설했다. 전통시장 뿐 아니라 전국의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손쉽게 단골 고객 확보, 홍보 및 마케팅, 재방문/재구매를 위한 고객 관리 등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며, 8월부터 ‘카카오비즈니스’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을 접수할 예정이다.
카카오 홍은택 ESG 총괄은 “전통시장의 디지털 역량 강화는 새로운 판로 개척과 더불어, 소상공인들의 자생력 및 경쟁력 상승, 매출 향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효과를 창출하게 될 것”이라며 “카카오가 보유한 플랫폼, 서비스 등의 자산과 노하우를 토대로 지속 성장 가능한 전통시장 생태계 구축을 위해 디지털 전환을 아낌없이 지원하며 상생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카카오, 7월 4일부터 격주 주4일 근무 시행
- 카카오가 만드는 메타버스 월드 베일 벗었다…‘카카오 유니버스’ 공개
- “어디서보다 어떻게” 카카오, 7월부터 ‘메타버스 근무제’ 전면 시행
- IT 종사자들이 가장 이직하고 싶은 기업 1위는 ‘네이버’
- 카카오, 소상공인 맞춤형 양성과정 ‘2022 카카오 클래스’ 모집(~6월12일)
- 카카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특집 페이지 오픈
- 카카오, 프라이버시 자문위원회 3기 출범…사생활 보호 강화
- 카카오, 올 1분기 연결 매출 1조6,517억원-영업이익 1,587억원
- 카카오, 디지털 인재 양성 나선다…클라우드 전문 인력 교육생 모집(~5월25일)
- 인포뱅크, 카카오와 협력해 ‘AS 예약 챗봇’ 베타서비스 시작
- 식기 렌탈·세척 ‘뽀득’, 33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예비유니콘 등극
- 온디맨드 ESG 조사 ‘퀀티파이드이에스지’, 킹슬리벤처스에서 프리A 투자유치
- 카카오페이, ESG 추진위원회 신설
- 카카오, 소상공인 맞춤형 양성과정 ‘2022 카카오 클래스’ 모집(~6월12일)
- 창업진흥원, 제3회 창업기반 ESG실현 우수사례 경진대회 참여자 모집(~6월9일)
- [스타트업 투게더] 친환경 포장의 A부터 Z까지, 탄소중립을 위한 맞춤형 포장재 ‘칼렛바이오’
- 두나무, ESG 경영위원회 공식 출범 “신뢰받는 기업 되겠다”
- 카카오엔터, 창작 생태계 상생안 발표…작가용 정산 사이트 구축
- 카카오모빌리티, 5년간 500억 상생기금 지원…글로벌 진출 원년 선포
- “사회와 함께 성장할 것” 카카오, 5년간 상생자금 3천억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