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2분기 매출 1조8,223억원…전년比 34.8% ↑
카카오가 2022년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5%, 전 분기 대비 10% 늘어난 1조8,223억 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 전 분기 대비 8% 증가한 1,710억 원으로, 영업이익률은 9.4%다.
카카오의 2022년 2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 분기 대비 5%,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9,307억 원으로 집계됐다.
톡비즈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4,532억 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 중 비즈보드, 카카오톡 채널 등 톡비즈 광고형 매출은 경기 침체 영향에도 전년 동기 대비 28% 성장했고, 선물하기, 톡스토어 등 톡비즈 거래형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 포털비즈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0%,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1,024억 원이다. 플랫폼 기타 부문 매출은 이동 수요 회복 및 카카오페이의 안정적인 수익 확대에 따라 전 분기 대비 21%,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3,751억 원을 기록했다.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6%,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8,917억 원이다.
스토리 매출은 엔화 약세에 따른 매출 감소 효과 등으로 전 분기 대비 5%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기 대비 22% 성장한 2,276억 원을 기록했다. 뮤직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2,093억 원이며, 미디어 매출은 전 분기 대비 57%,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1,180억 원이다. 게임 매출은 3,368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37%,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했다. 모바일 게임 ‘오딘’의 대만 매출과 ‘우마무스메:프리티 더비’의 신규 출시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2022년 2분기 영업비용은 전 분기 대비 11%, 전년 동기 대비 39% 늘어난 1조6,513억원으로 글로벌 콘텐츠 사업 확대 등으로 인한 마케팅 투자 등이 영향을 미쳤다.

카카오 측은 “카카오톡의 진화와 함께 광고, 커머스 등 비즈니스와의 강결합을 추진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있다”며 “카카오톡의 각 탭을 재정의하고 프로필과 친구탭에 비목적성, 소셜 인터랙션 요소를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비지인간 관심사 기반 오픈채팅의 진입점 개선 및 기능 업그레이드 등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계획이다. 또한, 사회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환경, 인권경영, 기술윤리 강화 등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갈 예정이다.
- 패스트파이브, 상반기 매출액 548억 기록…전년비 58% 증가
- 에코마케팅, 2분기 매출 1,082억-영업이익 212억 “창립 이래 최대 실적”
- 네이버, 분기 매출 첫 2조원 돌파…영업이익 3,362억원
- ‘애드엑스’ 운영 애드파이, 상반기 거래액 100억원 돌파
- 원티드랩, 역대 최대 분기 실적…매출 138억원·영업익 40억원 기록
- 카카오페이, 올 2분기 연결매출 1,341억원…전년대비 23% 증가
- 위펀, 누적 매출액 500억원…평균 70% 성장률 기록
- 카카오메이커스, 누적 거래액 6,000억원 돌파
- 에듀테크 ‘산타’, 상반기 매출 178.3%↑…올해 최대 실적 기대
- 코드스테이츠, 상반기 매출 140억원 돌파…전년 대비 263% 성장
- 카카오, 카카오톡 채널 ‘챗봇’ 서비스 이용요금 무료 전환
- 카카오메이커스, 누적 거래액 6,000억원 돌파
- 카카오, 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지원 나선다…1호는 양천구 신영시장
- 카카오, 7월 4일부터 격주 주4일 근무 시행
- 카카오가 만드는 메타버스 월드 베일 벗었다…‘카카오 유니버스’ 공개
- “어디서보다 어떻게” 카카오, 7월부터 ‘메타버스 근무제’ 전면 시행
- IT 종사자들이 가장 이직하고 싶은 기업 1위는 ‘네이버’
- 카카오, 소상공인 맞춤형 양성과정 ‘2022 카카오 클래스’ 모집(~6월12일)
- 카카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특집 페이지 오픈
- 카카오, 프라이버시 자문위원회 3기 출범…사생활 보호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