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코로나19 위기에도 음식적 매출 피해 줄였다” 우아한형제들
Reading Time: 2 minutes‘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음식 배달앱이 자영업자들의 코로나19 피해를 줄였다는 연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지난달 한국경제학회에 발표된 논문 ‘배달앱 이용과 음식점업 매출:대구광역시 코로나19 효과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배달앱 이용 음식점과 비이용 음식점 간에는 25%p의 매출 하락 폭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앱을 도입하지 않은 업체는 매출이 45% 하락한 반면, 도입한 업체는 20%만 하락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음식점업의 일 매출을 100만원으로 가정하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배달앱을 이용하지 않은 업체의 일 매출은 55만원으로 추락한 데 비해 배달앱을 이용한 업체의 일 매출은 80만원으로 선방했다. 매출 하락분(45%)의 절반 이상(25%)을 배달앱으로 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논문은 전현배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가 신한카드로부터 데이터를 제공 받아 대구광역시 외식업체 3만 개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발병 초기(2019년 11월~2020년 4월) 매출액 변화를 분석,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했다. 외식업체를 ‘일반음식점’(한식·일식·중식·양식·일반대중음식 등) ‘패스트푸드'(패스트푸드·치킨·피자 등) ‘식음료점(카페·베이커리 등)’ 등 업태별로 나눠 진행됐으며 국내 외식사업자 가운데 일반음식점은 80%, 패스트푸드와 식음료점은 각각 10%를 차지했다.

3가지 업태 가운데 매출 방어가 가장 두드러진 곳은 식당 대부분이 속하는 일반음식점 분야로 집계됐다. 배달앱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음식점은 코로나19로 매출액이 42% 감소했지만, 배달앱을 이용한 업체는 18%만 감소했다. 배달앱 이용 여부에 따라 매출 격차가 24%p로 집계돼 자영업자 중 가장 큰 비중(80%)을 차지하는 일반음식점들에 배달앱이 매출 방패막 역할을 톡톡히 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종별 ‘배달앱 방어 효과’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프랜차이즈가 많은 패스트푸드 업종은 배달앱 이용업체와 미이용업체 간 매출액 감소 폭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배달앱 이용, 미이용 모두 해당 기간 매출액이 7% 감소해 타 업종 대비 충격이 약했다. 프랜차이즈들은 자체 배달앱을 통한 비대면 채널과 자체 배달원 등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식음료 업종의 경우 배달앱 이용업체의 매출 감소율은 19%로 미이용 업체(33%) 대비 매출액 감소가 14%p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속에 배달앱에 식음료 배달 주문 카테고리가 새로 생기고 주문도 늘어나면서 매출 방어에 큰 효과를 보였다.
이번 논문에서는 전체 음식점들의 배달앱 이용 현황도 대구 지역 현황을 통해 가늠할 수 있는데, 음식점 가운데 배달앱을 도입한 곳은 23%며, 일반음식점의 가입률은 21%, 패스트푸드는 68%, 식음료는 13%인 것으로 조사됐다. 패스트푸드 업종의 가입률이 높은 이유는 배달과 포장 등이 중요한 구매 채널이라는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논문은 자영업자에 직격탄이 된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사회 환경 속에서, 배달앱들이 식당들 매출 보전에 어느 정도 역할을 했는지를 실증해 수치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해당 연구에 참여한 전현배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배달앱을 통한 비대면 서비스 제공으로 대면 활동에 제약을 받던 음식점들이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며 “외식업주들은 앞으로 있을 다른 팬데믹을 대비하여 온오프라인 채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 “CVC, 전체 VC 투자 31%, 중견기업 CVC 지원 필요” 스타트업얼라이언스
- 스타트업 자금 조달 新패러다임, ‘매출 파이낸싱’은 무엇? 투자혹한기 탈출구로 각광
- 네이버, “D2SF 투자 스타트업 기업가치 4조원 달해”
- 상반기 창업 65만개, 전년동기비 6.5% 감소…부동산 분야 급감
- “투자유치 시 가장 큰 고충은 실적 위주 보수적 투자심사” 벤처협
- 국내 중소기업 771만개, 전체 기업의 99.9% ‘역대 최고’
- 코스포 “의사·약사·환자 80%,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개선 필요”
- Korean Venture Capital Investment Declines in H1 2023, but Still Up From Pre-COVID Levels
- 올 상반기 벤처투자 4.4조원 · 펀드결성 4.6조원, 전년비 절반 수준
- 쿠팡, 7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종합몰 앱’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