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ESG 가치 담은 2022 투자보고서 발간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가 2022년의 연간 투자 활동과 ESG 우수사례를 정리한 ‘2022 임팩트 리포트(이하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투자가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찾고 그 영향력을 확산하겠다는 취지로 지난해 첫 임팩트 리포트를 선보인 이후 두 번째다.
회사는 고금리에 자금시장 경색과 투자심리 위축된 상황 속 투자와 펀드레이징 등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의 2022년 연간 활동 면면을 이번 리포트에 담았다. 2022년 총 투자기업은 83개사로 직전 연도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 업력 2년 이하의 초기기업이 54개사에 달해 초기투자 비중이 전체의 절반을 상회했다.
투자가 진행된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 및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팩트 레벨’을 측정한 결과 전체의 약 25%인 21개사가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임팩트 지표 가운데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돕는 서비스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산업 전 분야에서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과 맞물려 향후 회사가 주안점을 두고 투자를 확대해나갈 영역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8개의 벤처펀드를 결성하며 총 1440억 원의 투자 재원을 새롭게 확보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모태펀드의 첫 ESG계정을 따내며 조성한 ‘IBK-스마일게이트ESG펀드1호’로 본격적인 투자에 나설 계획이다. 스마일게이트 그룹의 지주사인 스마일게이트홀딩스도 이번 펀드의 주요 출자자로 참여해, 미래세대를 위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창업가를 발굴·육성하는 데 있어 시너지를 더할 전망이다.
남기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대표는 “2021년을 임팩트 원년으로 선언한 이후 해마다 리포트를 발행하며 외부와 적극 소통 중”이라 고 말했다. 이어 “지속 가능한 성장에 투자하는 VC로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사업모델, 다양한 위기에 대처하는 역량을 지닌 스타트업을 계속해서 돕고 그 성과를 알려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1분기 벤처투자, 전년비 60% 감소한 8815억…투자혹한기 된서리
- 22년 벤처·스타트업 고용 75만명, 증가율 8.1%로 전체 기업의 3.4배
- 디즈니+, 전년비 OTT앱 설치 증가율 1위…505만명으로 51% 증가
- 소비자 83% “전문직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선택권 보장돼야”
- “생성형 AI, 돌풍은 맞지만…” 옴디아, ‘2023 생성형 AI 시장 전망 보고서’ 발표
- 지난해 연간 창업기업 수는 131만 7479개…전년비 7%↓
- 코스포 첫 백서 발간.. “회원사 매출 20조원· 투자 유치 29조원·고용 5만명”
- 퓨처플레이, 스타트업 육성 10년 노하우 담은 ‘021 플레이북’ 공개
- 스티비, ‘2023 이메일 마케팅 리포트’ 발행
- 2020년 국내 창업기업 수 307만개…고용인원361만명-매출 988.5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