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란, 22년 거래액 6,800억원 기록…전년비 2배 이상 성장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 발란은 지난해 총 거래액이 ‘21년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이상 성장한 6,800억 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발란 측은 “지난해 명품 거래액 분석 결과 약 1.5조 원의 국내 온라인 명품 시장에서 발란의 시장 점유율이 약 45%로 명품 주문 열 건 중 네 다섯 개는 발란에서 이루어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발란은 최근 4년간 연평균 성장률도 127% 로 2019년 대비 26배의 성장세를 보였다.

발란은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채널(부티크, 브랜드) 과의 탄탄한 제휴 및 검증된 리테일러의 확보와 발란 익스프레스 등 특화된 고객서비스를 선보여왔다. 또 정품 유통에 대한 강한 의지로 발란 케어 및 발란 케어 플러스 등을 잇따라 선보여 고객의 신뢰도를 쌓고, 개인화 추천 서비스, 가격비교 기능, 반품비 상한제, 커넥티드 스토어 IFC 몰 등 고객의 편리를 최우선으로 정책들을 펼친 것도 지속적인 성장의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발란은 창업 초기부터 고객을 세분화하여 35~54세의 고소득, 고소비 고객을 타깃 고객으로 정하고 집중 케어한 결과, 핵심 구매층인 이 세대가 전체 구매의 60% 이상을 차지, 정책의 방향성 또한 적중했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고객 집착 서비스 정책을 펼친 결과 거래액의 대폭적인 성장은 물론 재구매율 또한 기존 45%에서 60%대로 늘었다.
한편, 발란은 내부적으로 경영효율화와 지속적 혁신을 실행한 결과 경영지표들이 순조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어 손익분기점을 올 상반기 내로 앞당겼고, 연내 흑자 전환도 무난할 것으로 전망했다.
발란 측은 “사업 초기부터 명품 비즈니스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깬 지속적인 특화 전략이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 냈다” 라며 “변화가 예측되는 국내외 시장 상황에서 리더로서 선제적,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도 고객이 가장 큰 혜택을 볼 수 있는 고객 최우선 정책들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명품 수선사 매칭 ‘럭셔리앤올’, 11번가와 명품 사후케어 서비스 협업
- 구하다, 200평 규모 물류센터 구축
- 구하다, 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누적 135억원 투자금 확보
- 세탁특공대, 명품 의류 관리 ‘프리미엄 케어 서비스’ 강화
- 명품 플랫폼 ‘구하다’, TIPA 회원사 가입…연내 TV 홈쇼핑 진출
- 명품 메타 검색 ‘리얼리’, 제트벤처캐피탈 등에서 프리시리즈A 투자유치
- 명품 소비 주도층은 ‘30-50세대’…남녀 모두 구찌 선호
- 명품 수선 ‘럭셔리앤올’, 전년 대비 매출 500% 상승
- 구하다, 한스타일과 25만개 명품 데이터 연동 계약 체결
- 구구스, 명품 중고 전문 수선·수리·클리닝 서비스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