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투자자가 본 2024년 이슈는 ‘투자혹한기와 R&D 예산삭감’.. “올해 창업 생태계 악화될 것”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는 지난 14일에 ‘2024년 대한민국 초기 스타트업 투자(액셀러레이터) 산업생태계 설문조사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대한민국 액셀러레이터 및 초기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 환경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24일부터 올해 1월 17일까지 진행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총 104명의 업계 종사자가 응답에 참여했다.

보고서는 ▲2024년 생태계 체감 분위기 ▲2025년도 생태계 전망 ▲업무 만족도 ▲2025년 정책에 대한 자율 의견 정리 등의 주요 내용을 담고 있다.

설문 결과, 2024년 생태계 체감 분위기는 2023년 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응답 비율은 27%에서 17%로 10%p 감소했으며, 부정적인 응답 비율은 42%에서 50%로 8%p 증가했다. 특히 스타트업 투자시장 환경, 스타트업 사업환경, 정부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액셀러레이터 사업환경 등에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가 우세했다.

KAIA reports 2024 issues - 와우테일

업계에서는 “벤처투자 혹한기의 지속(28.1%)”과 “R&D 예산 삭감(24.7%)” 등 두 항목의 합계가 과반수 이상인 52.7%로 가장 중요한 이슈로 꼽혔으며, “TIPS의 위기와 변화 요구”, “AC-VC 더블라이센스”, “액셀러레이터 Top Tier 상장 철회”가 뒤를 이었다. 이는 업계의 구조적 변화와 액셀러레이터의 생존 전략이 중요한 시점임을 시사한다.

또한 벤처투자 연대보증 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70.2%에 달했다. ‘기존처럼 유지하자’는 의견이 39.4%로 가장 많았으며, ‘벤촉법에 명시하여 창업자 연대보증을 금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32.7%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창업자 보호를 위한 정책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응답자의 61.5%가 2025년 액셀러레이터 생태계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투자 재원 확보와 회수 시장 활성화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높았다. 다만, 유망 스타트업 증가 및 투자·보육 전문인재 증가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기대가 일부 나타났다.

KAIA reports 2025 overview - 와우테일

가장 시급히 보완되어야 할 정책으로는 투자의무 비율 완화(20.7%), 창업기획자 전용 모태펀드 확대(17.4%), 세컨더리펀드 활성화(13.2%)가 꼽혔다. 또한 2025년 가장 주목할 스타트업 투자 분야로는 인공지능/딥테크(29.6%), 로봇(10.4%), 환경/기후(8.8%), 헬스케어(7.5%)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투자 환경 개선, 규제 완화, AC-VC 차별화 정책 마련, AC 전용 모태펀드 확대 및 세컨더리 펀드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 개선안을 제시했으며, 협회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보고서에 포함했다. 

협회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업계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대한민국 초기 창업투자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공진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