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인수 최후 승자는? 오라클에 미국 유명 VC도 지원 나서


[업데이트]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아마존도 인수 후보로 나섰다고 합니다.

미국 정부의 국가 안보 우려로 중국 바이트댄스(ByteDance)가 소유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부 매각 협상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안드레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와 오라클(Oracle) 등 주요 투자자들이 참여하며, 특히 오라클의 친트럼프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이번 매각은 소셜미디어 시장의 판도를 뒤바꿀 가능성이 크다.

tiktok usa by chatgpt - 와우테일

매각 협상 배경

미국 정부는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통해 미국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에 제공할 가능성을 우려해 2024년 법안을 통해 2025년 4월 5일까지 틱톡의 미국 사업부를 비중국 투자자에게 매각하도록 요구했다. 매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틱톡은 미국 내 서비스가 전면 금지된다. 이에 따라 틱톡은 1억 7천만 명에 달하는 미국 사용자 기반을 지키기 위해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 2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틱톡 매각 관련 최종 제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 회의에는 JD 밴스 부통령,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등이 참석하며, 트럼프는 협상이 결렬될 경우 강경 조치를 예고했다. 그는 중국과의 협상에서 관세 인하를 카드로 활용하며 중국이 매각에 동의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틱톡 인수 후보자들

틱톡 미국 사업부 인수에 참여하는 주요 후보로는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털 안드레센 호로위츠(a16z)가 있다. 이들은 오라클이 주도하는 투자자 그룹과 협력해 바이트댄스의 중국 지분을 매입, 미국 법인이 요구하는 중국 지분 20% 미만 조건을 충족시키려 한다. 

오라클은 데이터 관리와 알고리즘 감독을 맡아 틱톡의 미국 내 데이터 저장을 이미 지원하고 있는 핵심 파트너로 꼽힌다. 또한, 사모펀드 블랙스톤은 소수 지분 투자를 검토하며 바이트댄스의 기존 비중국 주주인 서스퀘하나 인터내셔널 그룹 및 제너럴 아틀랜틱과 협력 중이다. 과거에는 유튜버 지미 도널드슨(MrBeast), 전 재무장관 스티브 므누신, 마이크로소프트 등도 인수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현재는 참여가 불확실하다.

트럼프와 오라클의 관계

오라클은 트럼프의 주요 정책 프로젝트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2025년 1월 트럼프는 오라클, 오픈AI(OpenAI), 소프트뱅크(SoftBank)가 참여하는 5천억 달러 규모의 AI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Stargate)’를 발표하며 엘리슨과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 내 데이터센터와 AI 개발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며, 트럼프는 이를 통해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엘리슨은 트럼프의 정책을 지지하며 “트럼프의 리더십 덕분에 이 프로젝트가 가능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오라클은 트럼프 행정부 시절 코로나19 치료제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젝트에서도 정부와 협력한 전례가 있다.

틱톡 매각 협상에서도 오라클은 트럼프의 신뢰를 바탕으로 주요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트럼프는 오라클을 훌륭한 회사라며 공개적으로 칭찬했으며, 오라클은 틱톡의 데이터 관리와 알고리즘 감독을 맡아 미국 내 운영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오라클과의 협력을 통해 법적 제약을 우회하려 한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소셜미디어 시장에 미칠 영향

틱톡의 미국 사업부 매각이 성사되면 소셜미디어 시장의 경쟁 구도가 크게 변할 전망이다. 틱톡은 짧은 동영상 콘텐츠와 강력한 알고리즘으로 젊은 층에서 큰 인기를 끌며 메타(Meta), 스냅챗(Snapchat), 핀터레스트(Pinterest)와 같은 경쟁 플랫폼에 위협이 되고 있다. 매각이 완료되면 이들 경쟁사가 틱톡의 광고 수익과 사용자 기반을 흡수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 메타는 이미 릴스(Reels)를 통해 틱톡과 유사한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며, 스냅챗과 핀터레스트도 광고주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향후 전망

틱톡 매각 협상은 미국과 중국 간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진행 중이며, 결과에 따라 양국 무역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바이트댄스의 핵심 기술이 포함된 틱톡 매각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백악관 관계자는 중국이 매각을 막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번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틱톡은 미국 시장에서 계속 운영될 수 있지만, 실패할 경우 4월 5일 이후 미국 내 서비스가 중단될 위기에 처해 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