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랩, AI 업무 대시보드 ‘잔디홈’ 출시…업무 상황 한눈에 파악


업무용 협업툴 잔디(JANDI)를 서비스하는 토스랩은 AI기능을 강화한 잔디홈(JANDI Home)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JANDI - 와우테일

잔디홈은 업무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개인화된 지능형 업무 대시보드다. 사용자는 생성형 AI 기능을 언제든 활용할 수 있으며, 읽지 않은 메시지가 있을 경우 AI가 주제별 요약을 제공해 필요한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늘의 일정과 해야 할 일을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중요한 업무를 놓치지 않는다. 

잔디홈은 생성형 AI 활용을 촉진한다. 공지문 초안 작성, 번역, 용어 조사 등 생성형 AI와 상호작용한 업무 결과물을 잔디 안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버에게 공유할 공지 내용의 초안을 AI를 활용해 생성하고 편집해 채팅창에 바로 공유할 수 있어 소통과 업무 진행 속도를 크게 높인다.

잔디 개발을 총괄하는 서준호 최고기술경영자(CTO)는 “잔디홈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진입점”이며, “이후 선보일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을 활용한 AI 신기능을 잔디홈에 지속적으로 더해 인텔리전스 허브(Intelligence Hub)로 계속 발전시킬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토스랩 김대현 대표는 “지난 3월 정식 출시한 잔디 AI 스프링클러를 130여 개 기업의 3천 4백여 명의 사용자가 개념증명(Proof of Concept, PoC)을 진행했다”며 “현재 2천 1백 명 이상이 유료 사용자로 전환되어, 63%의 유료 전환율을 달성했다. 이러한 성과를 기반해 전체 사용자 대상으로 생성형 AI 무료 체험을 제공하게 됐다”고 말했다.

앞으로 잔디의 모든 사용자는 잔디홈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생성형 AI 기능을 일주일 동안 무제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체험 기간 종료 후 잔디의 최상위 플랜을 선택하면, 회사 고유의 지식 체계를 참조해 보다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검색증강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기반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를 포함한 기업 맞춤형 AI, 스프링클러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