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2차 공개… AI·바이오·반도체 등 11개 과제 선정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 2025년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사업의 정책지정 연구개발 제안서(RFP) 11개를 추가 공개했다고 발표했다.

wowtale.net 3 4 20190830 mss logo - 와우테일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는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형 R&D 사업으로, 벤처캐피탈 등 민간투자와 연계해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민간이 20억원 이상 선행투자하면 정부가 출연 R&D로 36억원 내외를 지원하고, 민간의 10억원 이상 후속투자에는 정부가 2배수 지분투자로 최대 40억원을 매칭하는 구조다.

중기부는 올해 총 20개 프로젝트를 지원할 계획으로, 지난 4월 23개 RFP를 공개한 데 이어 이번에 11개를 추가로 발표했다. 총 34개 RFP에 대해 수행기업을 공개모집해 최종 지원대상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에 추가된 11개 RFP는 벤처캐피탈, 연구소, 기업 등으로부터 조사한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전문가 상세기획을 거쳐 선정됐다. 바이오 2개, 반도체 2개를 비롯해 AI, 이차전지, 모빌리티, 해양, 수소, 통신, 제조 분야에 각각 1개씩 배정됐다.

주요 과제를 살펴보면, 반도체 분야에서는 차세대 반도체 공정용 스캔형 고속 레이저 어닐링 장비 기술과 HBM 적층 본더용 탄화규소 단결정 기반 고속 펄스히터 개발이 포함됐다.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AI 기반 전기차 폐배터리팩 자동 해체 기술이, 수소 분야에서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차세대 청정수소 생산시스템 개발 및 실증 과제가 선정됐다.

바이오 분야의 주목할 과제로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와 염증 제어가 동시에 가능한 항체 융합 단백질 플랫폼 기술과 중추신경계질환 올리고핵산 치료제의 전달 성능 제고 기술 개발이 있다. AI 분야에서는 나노소재를 활용한 AI 기반 고기능성 식물재배시스템 구축 및 실용화 제품 개발이 포함됐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AI 기반 건식 후막 양극 제조공정 사업화 기술이, 제조 분야에서는 나노다공성 유기물 미사용 실버 시트 접합소재 실용화 기술이 선정됐다. 해양 분야에서는 선박 안전운항을 위한 전방위 영상 기반 AI 상황인식시스템 개발이, 통신 분야에서는 250W급 이상 소형·경량 Ka-대역 고출력증폭기 기술개발이 포함됐다.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는 12대 국가전략기술, 탄소중립 등 핵심분야의 기술도전과제를 발굴해 파급력 있는 프로젝트를 출제하는 톱다운 방식으로 운영된다. 중소벤처기업 중심으로 투자사와 R&D 협력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프로젝트팀을 만들고, 20억원 이상의 도전자금을 유치한 후 RFP에 신청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연구 수행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민관 합동으로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지원하고, 프로젝트 매니저가 전주기를 관리한다. 민간의 보수적 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우선손실 충당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성실하게 수행한 경우 실패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도 마련됐다.

34개 RFP의 상세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술개발에 도전할 기업은 프로젝트팀 구성과 최소 수행자금 20억원 확보 등 요건을 갖춰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을 통해 언제든 신청할 수 있다.

박용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딥테크 기술은 기업 하나의 성장을 넘어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다양한 기술과 결합해 전세계 패러다임을 뒤바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역량을 갖춘 우리 중소·벤처기업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이 최첨단 기술에 도전하여 세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