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00억원 지원 ‘도전혁신형 R&D’ 중소·벤처 6개사 선정


중소벤처기업부는 ’24년 ‘전략기술 테마별 프로젝트’를 수행할 6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전략기술 테마별 프로젝트(DCP : Deeptech Challenge Project)‘는 중소·벤처기업이 고위험·고성과 R&D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민·관 합동으로 최대 100억원 내외의 자금을 지원하는 대규모 R&D 프로젝트로, 지난해 시범사업을 거쳐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DCP 2nd startups - 와우테일

올해 혁신 중소·벤처 98개 기업이 동 프로젝트의 과제 기획단계에서부터 도전장을 제출했고, 각 분야별 전문가 그룹의 심층기획 및 평가를 거쳐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과 파급효과, 국가전략적 관점에서의 기술확보 필요성 등이 우수한 6개 프로젝트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프로젝트는 첨단바이오, 반도체, 인공지능, 이차전지 등 국가 전략기술 분야에 해당하며, 글로벌 시장의 수요가 높은 도전적인 프로젝트가 꼽혔다. 선정기업은 Ge-on-Si 단파장 적외선 이미지센서 및 카메라 시스템 개발(반도체, 스트라티오코리아), 첨단 AI-로보틱스 기반 자가진화형 차세대 소재 개발 기술(인공지능, 카이로스랩), AI기반 맞춤형 골관절 이식재 임베디드 개발(첨단바이오, 에어스), 신개념 조절 T세포 치료제 및 자동 배양 시스템 개발(첨단바이오, 이뮤니스바이오), 자가 적응 AI 기반 이차전지 모듈팩 통합 시스템 개발(이차전지, 씨티엔에스), AAV 기반 유전자 치료제 산업화 신기술 개발(첨단바이오, 씨드모젠) 등이다. 

각각의 프로젝트에는 정부의 지분투자 최대 40억원, 출연 R&D 자금 최대 36억원 등의 파격적인 지원이 이어진다. 민간의 선행 투자규모까지 감안하면 최대 100억원 수준의 프로젝트 도전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자금 외에도 R&D 전과정을 맞춤형으로 지원받는다. 기술지주·연구소· 특허법인 등 연구개발을 뒷받침하는 다양한 기관이 기업을 밀착 지원하며, 기술 분야별 전문성을 가진 프로젝트 매니저가 전주기 관리를 지원한다. 

특히, 개발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의 수요를 반영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기관과의 협력도 지원한다. 해외 현지의 R&D 지원 거점을 통해 메사추세츠 공과대학, 퍼듀대학 등 세계적인 연구역량을 가진 기관과 협력수요를 발굴하고, 각 기관의 산학연 협력프로그램도 연계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해당 분야를 선도할 기술을 확보할 전망이다. 대표적으로, 반도체기업 스트라티오코리아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자율주행자동차, 방산 무기체계, 의약품 진위여부 판별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적외선 이미지센서 및 카메라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며, ’28년까지 약 1,500억원의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작년의 첫 프로젝트를 통해서는 엔도로보틱스와 에스비티엘첨단소재 등 2곳이 선정된 바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김우순 기술혁신정책관은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과 잠재력은 대단히 우수하지만, 현실적인 생존 여건상 R&D 목표를 도전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커다란 모험인 것이 사실”이라며, “기업이 과감한 도전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력을 확보하고 월드 프론티어급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위험은 나누고 성장동력을 충분히 공급하는 등 정부의 모든 지원역량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6팀 중에 와우테일의 와우투게더 인터뷰한 팀이 3팀(에어스, 씨티엔에스, 씨드모젠)에 달한다. 

① (반도체) 스트라티오코리아(티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 20억원 투자)

스탠포드 출신 엔지니어 중심으로 구성된 스트라티오코리아는 기존 InGaAs 대비 높은 신뢰성 및 낮은 원가 등 산업적 기술혁명 구현이 가능한 기술력을 보유하였으며, Ge-on-Si 기반 근적외선 센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가전, 자율주행센서 등 SWIR 시장의 높은 성장성, 독점성, 기술력, 사업화 경험 등을 고려할 때 기술개발 성공 가능성이 높아 선정되었다. 

② (인공지능) 카이로스랩(SK증권 컨소시엄, 21.7억원 투자)

카이로스랩은 선행연구(AI 기반 소재 발굴 및 물성 예측 기술)를 통해 소재 데이터 분석 및 물성 예측 분야에서 속도와 정확성에 대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 확보 경험을 보유한 기업이다. 성균관대·경희대·연세대, Caltech(美), UCSD(美), UNSW(濠洲) 등 우수한 국내·외 산·학·연 협력 연구 체계를 확보하고 있다. AI-로보틱스 기반 자가진화형 차세대 소재 개발 플랫폼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 가능성이 높고, 프로젝트 완료 시 글로벌 시장 선도가 기대되어 수행기업으로 선정되었다.

③ (바이오헬스) 에어스(L&S벤처캐피탈 컨소시엄, 20억원 투자)

에어스는 16명의 임직원 중 13명이 연구인력이며, 36건의 지식재산권을 출원·등록한 골절 맞춤 수술로봇, 내비게이션 시스템 분야의 전문기업이다.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기술개발 단계부터 경북대 의대, DGIST, KIMM, 하버드 의대, 홍콩대 등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 확보 필요성과 높은 시장성(’32년 466억불 전망)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④ (첨단바이오) 이뮤니스바이오(티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 20억원 투자)

이뮤니스바이오는 면역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는 전문기업으로, 염증성 장 질환 환자에게 활용가능한 조절 T세포 및 자동배양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세계적으로도 개발 초기 단계의 신기술로 기술개발을 위해 미국 오클라호마 대학과 글로벌 협력을 추진한다. 개발 완료 시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도전적·혁신적 기술임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⑤ (이차전지) 씨티엔에스(아이엠투자파트너스 컨소시엄, 20억원 투자)

씨티엔에스는 이차전지 모듈팩 설계 관련 지식재산권 23건을 보유하였으며 설계→제조→관리→재제조까지 수행하는 HW/SW 전문기업으로, 뛰어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AI를 활용한 이차전지 설계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산업·물류 로보틱스, 중소형 모빌리티, 농기계 등 전동화 기업의 수요에 대응 가능하다. MIT(美), KAIST 등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세계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성장성을 높게 평가받았다.

⑥ (첨단바이오) 씨드모젠(데일리파트너스 컨소시엄, 20억원 투자)

씨드모젠은 임직원 39명 중 12명이 연구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는 CDMO 전문기업으로, 신약의 KFDA IND(시험계획) 승인 신청을 완료했고, FDA(美) IND 신청을 준비중이다. 유전자 치료제 GMP 생산공정 및 품질평가 분석 기술, AAV 기반 유전자 치료제 7종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버드 의대와 협력하여 켑시드 엔지니어링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세계적으로도 초기 개발 단계에 있는 도전적 신기술이다. 개발 완료시 뇌질환, 간질환 등 기존 방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며, 해당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선정 사유로 고려되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