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개 기업 뭉친다…’제조 AX 최강국’ 향한 대장정 시작


국내 제조업계가 인공지능(AI)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대규모 연합체를 출범시켰다.

M.AX Alliance Lauching Ceremony - 와우테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10일 제조 AX 얼라이언스(M.AX 얼라이언스)를 공동 출범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얼라이언스에는 국내 대표 기업과 연구기관, 학계 등 1,000여 개 기관이 참여하며, 2030년 제조 AX 1등 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한다.

얼라이언스는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AI 팩토리 등 10개 분야로 구성되며, 2030년까지 100조원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1,000개가 넘는 대표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은 제조 AX가 기업의 생존 문제라는 절박한 인식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기업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기업은 부족했다. 제조 기업과 AI 기업 간 협력도 미약하고,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제조 데이터가 개별 기업 차원에서만 관리되면서 AI 융합 제품 개발이 지체되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일부 제조 기업들이 해외 AI 기업과의 협업을 추진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번 얼라이언스는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획됐다. 각 분야별로 업종 대표 제조 기업과 AI 기업이 함께 참여하고, 부품업체와 소재업체도 합류해 업종별 특화 AI 모델과 제품을 공동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민간 중심의 미국, 정부 중심의 중국과는 차별화된 우리만의 민관 협력 모델이라는 평가다.

분야활동 목표주요 참여기업
AI 팩토리’30년 AI팩토리 500개 보급, 제조특화 AI개발LG전자, 현대차, 포스코, 대한항공, SK에너지, LIG넥스원
AI 제조서비스’30년 제조업 AI 활용률 70% 달성, AI 표준 개발LS일렉트릭, 현대오토에버, 아이디이노랩, 한국디자인연구소
AI 유통·물류’28년 지능화매장 테스트베드 구축 및 확산이마트, 롯데마트, 현대백화점, GS리테일, 쿠팡, KT, 네이버
자율주행차’28년 SDV플랫폼 공급, ’30년 완전자율주행 기술 양산현대차, HL만도, 현대모비스, LG전자
휴머노이드’29년 휴머노이드 양산 돌입(연 1,000대 이상)LG전자, 삼성전자, 두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이로봇
자율운항선박’30년 세계 최초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 확보조선3사, 마린웍스, 아비커스, 씨드로닉스
AI 가전’30년 글로벌 1위 가전 제품 10개 개발삼성, LG, 코웨이, 쿠쿠, 쿠첸, 세라젬, 노타AI
AI 방산’30년 자율수행 AI 드론 개발 및 양산체계 구축LIG넥스원, KAI, 대한항공, 비거라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AI 바이오’29년 의약품 제조공정 특화 AI 모델 개발삼성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경동제약, 마이크로디지탈
AI 반도체’30년 온디바이스 AI반도체 시제품 개발현대차, LG전자, 두산로보틱스, 대동, KAI, 삼성전자

각 얼라이언스에는 업종별 대표 기업과 AI 개발기업, 반도체·배터리 등 부품·소재 기업, 대학, 연구기관이 참여한다. 이들은 데이터 공유와 공동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AI 모델과 AI 탑재 제품·서비스를 개발하게 된다.

정부도 대대적인 지원에 나선다. 우선 내년도 산업부 AI 관련 예산부터 얼라이언스 주요 프로젝트에 우선 배정한다. 올해 5,651억원에서 두 배로 늘어난 1조 1,347억원 규모의 내년도 AI 예산이 이미 국무회의를 통과한 상태다. 2027년부터는 얼라이언스에서 제안한 과제를 예산 편성에 최우선 반영할 계획이다.

특히 제조 기업과 AI 기업 간, 제조 기업과 소재·부품 기업 간 협업 과제를 중점 지원하고, 서로 다른 얼라이언스 간 협업 과제도 확대 지원해 국내 AI 협력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자금 지원을 위해서는 참여 기업들이 국민성장펀드를 비롯한 각종 민관 펀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및 금융기관과 협의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AI팩토리 확산, AI 제품 개발, 관련 인프라 구축, 업종 특화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대규모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I 인프라 측면에서는 제조현장 실증 공간,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 업종별 테스트베드를 적극 지원한다. GPU와 데이터센터·컴퓨팅 공간 확보를 위해 관계부처 및 민간 사업자와의 협의도 추진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준비 중인 국가 AI컴퓨팅센터와의 연계 방안도 모색한다.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AI 모델 개발과 AI 제품·서비스 상용화의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발굴해 개선하고, AI 융합 제품과 AI 데이터 처리 관련 표준도 마련한다. 얼라이언스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AI 전문기업 육성, 협력 프로젝트 지원, AI 데이터 표준화, 규제 개선 등을 담은 ‘산업인공지능전환촉진법’ 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M.AX Alliance Lauching Ceremony Minister - 와우테일

김정관 장관은 “우리가 가진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업간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해 2030년 제조 AX 1등 국가가 되겠다”며 “얼라이언스 이름이 맥스(MAX)인 만큼, ‘가장 위대한’을 뜻하는 어원처럼 제조 AX에서 가장 위대한 국가가 될 수 있도록 기업과 관계부처가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