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엑스, 대만 지사 설립…글로벌 공략 박차 


피지컬 AI 반도체 기업 딥엑스가 대만 지사를 설립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고 15일 밝혔다.

250915 %EC%9D%B4%EB%AF%B8%EC%A7%80 %EB%94%A5%EC%97%91%EC%8A%A4 %EB%8C%80%EB%A7%8C %EC%A7%80%EC%82%AC %EC%84%A4%EB%A6%BD%EC%9C%BC%EB%A1%9C %EA%B8%80%EB%A1%9C%EB%B2%8C AI %EB%B0%98%EB%8F%84%EC%B2%B4 %EC%8B%9C%EC%9E%A5 %EB%A6%AC%EB%8D%94%EC%8B%AD %EA%B0%80%EC%86%8D%ED%99%94 %EC%B5%9C%EC%A2%85 - 와우테일

대만은 IT 하드웨어 OEM/ODM 부문의 글로벌 제조 허브로, 팹리스, 파운드리, 후공정(패키징), IT 하드웨어 제조로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균형 잡힌 반도체 생태계가 구축돼 있다. 특히, 대만 정부 또한 2023년 AI 반도체를 국가 핵심 산업으로 지정하고 연구개발(R&D) 투자 액의 25%를 세액 공제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펼치면서, 대만은 AI 반도체 수요 급증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수출이 전년 대비 63% 증가하는 등 압도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딥엑스는 AI 반도체에 대한 기술 혁신을 가장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만과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과 생태계 형성에서 최적의 전략적 요충지로 보고 있다. 김녹원 딥엑스 대표는 대만을 “부품부터 시스템, 최종 솔루션까지 완성형 AI 밸류 체인을 보유한 글로벌 제조 허브”로 평가하며, 지사 설립으로 현지 생태계 내에서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딥엑스는 과거 ‘컴퓨텍스 타이베이’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며 일찌감치 대만 현지 업계와 미디어의 주목을 받았다. 대만 최대 IT 전문지 디지타임스(DigiTimes)는 당시 컴퓨텍스 타이베이 특집호에서 엔비디아 젠슨 황 CEO를 1면 전면에, 딥엑스를 2면 전면에 실으며 차세대 AI 반도체 시장을 이끌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꼽았다. 컴퓨텍스 타이베이는 엔비디아·AMD·인텔 등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들의 CEO가 총출동하여 키노트를 통해 신제품과 AI 전략을 발표하는 무대로 자리 잡아 ‘AI 반도체의 성지’로 불린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딥엑스는 대만 시장과 언론의 관심을 받으며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새로운 강자로 기대 받고 있다.

딥엑스는 대만 현지에서 폭넓은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활발한 비즈니스 활동을 펼치고 있다. 3년 연속 컴퓨텍스 타이베이에 참가해 대규모 독립 부스를 운영하며, 주력 제품인 DX-M1 M.2 카드, DX-H1 PCIe 가속기 및 DX-V3 SoC(시스템 온 칩)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선보였다. 특히 올해는 MSI, 인벤텍(Inventec), ASUS(AAEON), IBASE, 바이오스타(Biostar), 포트웰(Portwell), AIC, 젯원(Jetone), 미트웰(Mitwell), DFI, 조텍(Zotac) 등 대만 주요 IPC 및 서버 제조사 15곳의 기업이 딥엑스 기반 제품을 전시하며 현지 협력도 강화했다.

딥엑스는 대만 현지 시장 확대를 위해 타이베이에 지사를 설립해 고객 지원 및 물류 기능을 현지화 했으며, 이를 통해 신속한 현지 대응을 가능하게 했다. 딥엑스는 대만 반도체 유통사인 WPG, WPI, 어센텍 등과 중화권 AI 반도체 시장 진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주요 파트너들과 함께 적극적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또한, 어드밴텍(Advantech), 레너(Lanner), 에이수스(ASUS), 에즈락(ASRock), 슈퍼마이크로(Supermicro), 렉스(LEX), 이노디스크(Innodisk) 등 유력 하드웨어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며 현지 유통 및 고객 접점을 넓혀가고 있다. 현재 딥엑스 제품은 대만 제조 기업들로부터 AI 시스템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의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녹원 딥엑스 대표는 “딥엑스는 GPU 기술 대비 약 20배 높은 전력 효율과 10분의 1 수준의 발열 및 총소유비용(TCO)을 자랑하는 양산 제품에 대한 대만 기업들의 호평이 있어 10여개 이상의 기업들과 양산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대만 시장에서의 확고한 입지를 통해, 고객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 AI 시스템을 구축해 피지컬 AI 시대의 글로벌 혁신을 이끌겠다”라고 강조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