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커린스페이스,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 선정….68억원 투자금 확보


궤도상서비싱 전문기업 워커린스페이스는 중소벤처기업부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과제 중 ‘우주관찰 및 궤도변환 기술을 탑재한 6U 이상급 큐브위성 개발’에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workerinspace - 와우테일

국가 지원예산 36억과 VC(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금 20억, 자체 매칭 투자금까지 모두 포함하면 총 68억원 규모이고, 사업화 단계에서 지원하는 정부 지분투자까지 고려하면 최대 100억원의 자금으로 수행 가능하다.

워커린스페이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출신인 경상국립대 항공우주공학부 김해동 교수가 지난 24년 1월 창업한 궤도상서비싱(OOS & ISAM) 전문기업이다.

워커린스페이스는 DCP 과제를 수행하면서 국내 최초로 우주에서 특정 우주물체에 접근해 외부 형상과 자세등의 상태를 관찰하는 기술과 이를 위해 자유롭게 궤도를 이동할 수 있는 궤도변환 기술들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들 기술들은 우주 재급유, 위성 수리 및 부품 교체등의 궤도상서비싱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소요기술들이며, 우주에서 고장 난 위성, 우주쓰레기등을 추적, 관찰하는 우주기반 우주상황인식(Space-based SSA) 및 우주교통관리 기술에도 활용될 수 있다.

김해동 워커린스페이스 대표이사는 “중기부 DCP 과제의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에 선정됨으로써, 궤도상서비싱이라는 세계적으로도 도전하는 기업들이 몇 개 되지 않는 만큼 고난이도 신(新) 우주산업 기술개발을 하는데 정부로부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주관기업인 워커린스페이스는 에코스솔루션과 부산대학교와 함께 과제를 수행하며, 정부 지원금 이외 자체 투자를 통해 DCP 사업의 결과물을 큐브위성에 적용, 27년 말 국내 최초로 우주에서의 우주물체 접근과 관찰, 자체 궤도폐기 기술들을 실증할 계획이다.

이는 우주에서 실증된 핵심기술들은 워커린스페이스가 개발 중인 궤도상서비싱 로봇위성 개발에 최종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고난도 우주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률을 극대화시킨다는 전략이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