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AI 로봇쇼’ 개막, 혁신 로봇 기술 한자리에


서울경제진흥원(SBA)은 지난 1일 서울 코엑스 E홀에서 서울AI로봇쇼 로봇전문가 포럼을 진행했다. 이번 포럼은 ‘로봇 친화 도시, 서울로의 발돋움’을 주제로 세계적 로봇 석학과 산업계 리더가 한자리에 모여 로봇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했다. 

SBA1 - 와우테일

이번 포럼에는 ▲데니스 홍 UCLA 교수, ▲김상배 MIT 교수, ▲공경철 KAIST 교수 겸 엔젤로보틱스 의장, ▲김익재 KIST AI·로봇연구소 소장, ▲최리군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 상무 등 로봇공학을 선도하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로봇산업 종사자와 시민  250 여명이 포럼에 참석해 로봇 산업에 대한 열기로 포럼장을 가득 채웠다. 

포럼 기조연설자로 나선 공경철 교수는 ‘로봇도시, 서울의 가능성과 도전 과제’를 주제로 “로봇을 통합하는 요소 기술이 있으며 로봇이 엔드프로덕트로 완성되기 위해선 수많은 기술과 기술집단, 스타트업을 비롯한 여러 기업이 협심해야 한다”며, “동시다발적인 스타트업으로 발전하는 시기는 이미 지났고 충분히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곳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를 분리해서 1등 초격차 부분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발표를 이어간 최리군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 상무는 ‘공간, 사람, 그리고 로보틱스’라는 주제로 자동차와 모빌리티 기술에 축적된 경험을 로봇에 접목해 도시 공간과 생활환경을 혁신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도시는 이제 자동차 중심의 공간이 아니라,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복합 생태계로 진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서 강연을 한 데니스홍 교수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 성과를 소개하며, “휴머노이드 로봇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시민과 직접 상호작용을하는 도시 서비스의 주체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마지막 특별강연자로 나선 김상배 MIT 교수는 ‘피지컬 인텔리전스(physical intelligence)’를 주제로 행동(action) 데이터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현재 AI를 주도하는 엔비디아, 구글, 메타 등 IT 기업들은 언어 등 높은 수준의 데이터(의식적 데이터)로만 AI를 개발한다”며 “피지컬 인텔리전스를 정복하려면 인터넷에 없는, (무의식적 영역의) 행동 언어(action language)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최근에 화두가 된 의대 쏠림 현상 속 로봇 산업 생태계 재편 방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공경철 교수는 “현재 상황을 받아들이고 주어진 조건에서 할 수 있는 것을 찾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이미 갖춰진 의료 인프라를 R&D에 활용해 재활·보조 로봇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최리군 상무는 “이과 중심의 생태계가 필요하다”며 “이과에서 열심히 공부하면 의사결정을 주도적으로 내리고 사회를 이끌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로봇 친화 도시 서울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주제에 대해 특별강연자로 나선 김상배 교수는 “이미 세계 정상을 차지하고 있는 K-POP, K-FOOD 등 문화적인 요소에 로봇 기술을 융합한다면, 충분히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고, 공경철 교수는 “서울은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진 환경에 얼마나 로봇 기술을 잘 융합해 발전하는 지가 서울만의 로봇 브랜드를 갖출 수 있는 관건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