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P, 의료 AI 스타트업 8개사 데모데이 ‘DHP 2025’ 개최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이하 DHP)는 ‘DHP 2025: AGI 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를 11월 13일 한국기술회관에서 개최한다.

DHP 2025는 DHP가 2017년부터 매년 진행해 오던 ‘DHP 데모데이’ 행사를 리브랜딩하고 더욱 확장한 첫 번째 행사다. 올해는 ‘AGI 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를 아젠다로 최근 AGI(범용 인공 지능)의 구현 가능성과 그 파급효과를 다룬다. 

키노트 세션에서는 기술, 산업, 정책 전문가들의 발표가 진행된다. 먼저 DHP 최윤섭 대표가 오프닝 키노트를 맡아 행사 전반에 대한 소개와 함께 ‘AGI 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한 핵심 동향과 DHP가 지향하는 투자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두 번째 키노트 연사로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국회의원 차지호 의원이 ‘커넥티드 인텔리전스와 AI 기본사회’를 주제로 발표한다. 차지호 의원은 의사이면서 존스홉킨스대학에서 국제보건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전문가로, 이번 정부의 ‘AI 기본사회’를 구상한 핵심 인물이다. 이번 발표를 통해 AGI 시대에 한국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세번째 키노트 연사는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이자, DHP의 파트너인 정규환 교수가 ‘From Perception to Action: 생성형 의료 인공지능의 현황과 미래’를 주제로 발표한다. 정규환 교수는 의료 인공지능 회사 뷰노의 공동창업자이자 CTO를 역임한 의료 AI 전문가이다. 이번 키노트에서는 인지와 추론을 통한 임상의사결정 보조에서 나아가 계획과 실행을 통한 물리적 의료 행위 지원으로 확장되는 의료AI의 흐름을 조망한다. 특히 이러한 기술적 진화가 수술 보조 로봇 개발과 같은 피지컬 AI 분야에서 어떻게 혁신을 이끌고 있는지를 실제 사례를 통해 소개할 예정이다.

네 번째 키노트 연사는 루닛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인공지능책임자인 유동근 이사가‘파운데이션 모델과 의과학 대전환’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파운데이션 모델은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서 만들어진 거대한 범용 기반 모델로, 특정한 목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목적에 활용되는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이번 키노트에서는 루닛이 개발하려고 하는 의생명과학 분야의 파운데이션 모델과 그 파급효과에 대해 발표한다.

다섯 번째 키노트 연사는 바이오넥서스의 김태형 대표가 ‘멀티 에이전트 기반 바이오 연구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한다. 최근 의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에, 일종의 ‘공동 연구자’, 혹은 ‘공동 과학자(co-Scientist)’로 참여하는 멀티 에이전트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AGI 시대를 대표하는 혁신이 바로 ‘스스로 과학 연구를 하는 인공지능’으로, 이러한 변화에 대해 발표한다. 

DHP가 투자한 스타트업 8팀의 발표 1부에서는 퍼플AI(뇌졸중 진료의 End-to-End 지원 인공지능 플랫폼), 에이인비(생성형 인공지능 기반의 항체 신약 후보 물질 개발), 티알(인공지능 기반의 호흡기 질환 진단검사 통합 솔루션), 리소리우스(정신과 및 신경과 의료인을 위한 초지능) 등이 무대에 오른다.

2부에서는 블루시그넘(AI 기반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관리 솔루션), 팀엘리시움(AI 기반 차세대 체형 분석 플랫폼), 마이허브(병의원 대상의 의료 인공지능 통합 서비스 플랫폼), WDTT(AI 기반 일본 시니어케어 플랫폼) 등이 발표한다. 뿐만 아니라, 주요 기업 및 기관들의 전시 부스 관람,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이 진행된다. 

최윤섭 DHP 대표는 ‘DHP 2025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에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혁신을 가속화 하겠다’며, ‘이 행사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JPM 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DHP 2025 main fin - 와우테일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