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네이버파이낸셜’ 설립.. 미래에셋 5,000억 투자 예정

네이버는 금융 사업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속도를 높이기 위해 네이버페이 CIC를 물적 분할 형태로 분사, ‘네이버파이낸셜 주식회사'(가칭)를 설립한다고 24일 밝혔다.
새로운 금융 사업의 전문성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규 법인은 전략적 파트너인 미래에셋으로부터 5,000억원 이상을 투자받을 예정이다.
양사는 이를 통해 핵심 역량을 융합해 생활 금융 플랫폼으로의 변화를 시작한 테크핀 시장에서 본격적인 흐름을 만들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신규 법인의 대표이사는 네이버에서 기술, 서비스, 비즈니스 영역 등을 총괄해온 최인혁 최고운영책임자(COO)가 겸직한다.
네이버 측은 “최인혁 신임 대표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IT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기술과 금융 서비스 융합의 시너지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네이버페이는 테크핀에서 중요한 지표인 결제자수가 업계 최대 규모인 월 1,000만 명을 넘어섰다.
결제는 돈을 이체하는 송금과 달리 사용자가 상품을 소비하면서 돈을 지불하는 고관여 행위로, 신규 법인은 해당 경험을 금융 영역으로 보다 쉽고 재미있게 연결해 사용자들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시도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라고 네이버는 말했다.
신규 법인은 임시 주총의 승인 절차를 거쳐 오는 11월 1일 출범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지난 2017년 2월에는 카카오페이가 카카오에서 분사하면서 알리페이를 서비스하는 앤트파이낸셜에서 2억달러(약 2,300억원)을 투자받은 바 있다. 카카오페이는 2년 후 연 거래액 100조원을 목표로 하고 상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가 별도 법인으로 분사하며 간편결제 시장을 키워가는데, 은행을 비롯한 기존 금융권도 바짝 긴장해야 할 것 같다. 국내에도 금융 빅뱅이 머잖았다.
- 모바일 환전 ‘캐시멜로’, JB벤처스에서 투자유치
- 네이버, 네이버페이에 후불결제 시범 서비스 개시
- 한국신용데이터, 폐업비용 최대 200만원 지원.. “소상공인 맞춤금융 서비스 출시”
- [실리콘밸리 소식] 기업 경비관리 ‘램프’, 16억달러 가치에 1억달러 투자유치
- ‘헤이비트’, 90억원 투자유치.. “디지털자산 투자 대중화에 앞장”
- 두나무, 코로나19 확산방지-피해복구에 100억원 쾌척
- AI 세금환급 ‘삼쩜삼’, 누적 가입자 100만명.. 누적 환급액 350억원
- [실리콘밸리 뉴스] 클라우드 디지털 뱅킹 플랫폼 ‘알카미’, 20억달러 가치로 상장 추진
- 두나무가 뽑은 3월 비상장 주식은 카카오뱅크-크래프톤-야놀자
- 토스, 2020년 매출 3,900억원에 영업손실 725억원.. “올해 매출 1조원에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