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배송 ‘디버’, 크라우드 소싱으로 누구나 배송기사 가능

LG유플러스 사내 벤처인 디버팀이 크라우드 소싱 기반 당일배송 플랫폼 ‘디버’를 출시했다.
일반 배송 서비스와 달리 디버는 승용차∙오토바이 등 운송수단을 보유한 직장인, 주부, 대학생 등 누구나 디버의 ‘배송기사’로 등록해 원하는 시간에 ‘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고객이 서비스를 신청하면 디버에서 거리∙평점 등을 고려해 최적의 배송기사를 자동으로 배정해준다.
국내에는 도스타비스타와 연계되어 있는 퀵커스가 크라우드 소싱 기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택시를 이용한 스마트 배송 서비스인 딜러버리티라는 서비스도 있다.
지금까지 퀵서비스는 배송 물품에 따라 오토바이 또는 경상용차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에 물품의 부피가 오토바이로 운송하기 모호한 경우, 경상용차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돼 같은 거리라도 요금이 비싸졌다. 반면 디버는 개인이 보유한 자가 승용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경상용차 대비 훨씬 저렴하게 이용 가능하다.
배송기사의 수입도 차별화된다. 기존 매출의 약 23%에 달하던 중개수수료를 10%로 낮추고, 플랫폼 이용료도 무료로 해 디버 배송기사들의 수익을 크게 높였다.
디버는 기사 평가 시스템과 연계한 배송기사 배정 방식도 눈에 띈다. 크라우드 소싱으로 누구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지연∙불친절∙파손 등의 사유로 고객의 평가가 낮아지면 배송기사로 배정받지 못한다. 반대로 좋은 평가를 받아 배송 횟수가 늘어날수록 우선 배정을 받는 것은 물론 추가 보상까지 지급한다.
웹을 통해 실시간 위치와 소요시간 등 배송정보와 정산 내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용성도 우수하다. 물품에 대한 소화물 보험이 자동 적용돼 운반 중 분실이나 파손 시 기사의 부담도 최소화할 예정이다.
디버는 우선 서울 및 경기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말까지 시범서비스를 제공하고 내년부터 지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장승래 디버 대표는 “국내 퀵서비스 시장 규모는 연 매출 3조에 달하고, 최근 이커머스 시장의 당일배송 경쟁 또한 치열하다”며, “디버는 이처럼 시장 규모가 확대되는 퀵/당일배송 서비스 시장을 크라우드 소싱 배송 플랫폼으로 주도해 국내 대표 배송기업이 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한편 디버는 알고리즘 전문가들로 구성된 LG유플러스 사내벤처 1기로 올해 1월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디버를 비롯해 지난 5월 ‘운동닥터’ 앱을 출시한 ‘위트레인’ 등 4개팀이 활동 중이다.
[배달(Delivery Tech) 스타트업 소식 전체보기]
- 배달의민족, 배민1에 ‘알뜰배달’ 도입…업주-소비자 부담 낮춘다
- 바로고, ‘골프존커머스’와 배달 대행 계약 체결
- 바로고, IT 정보보안 ‘드로닉스’ 인수…개인정보 관리 체계 고도화
- “배달 넘어 초연결 플랫폼으로” 바로고, 탐험가 깃발 형상화한 새 CIㆍ비전 공개
- 바로고, GS리테일과 손잡고 ‘요마트’ 배달 수행
- 바로고, 식자재 중개 ‘딜리버리랩’에 전략적 투자 단행
- 바로고-무빙, 진바이크에 전략적 투자 단행…이륜차 AS 생태계 구축
- 바로고, 사륜 당일 배송 본격 스타트…초연결 플랫폼으로 성장
- 서울시, 4개 배달앱사와 1회용 배달용기 퇴출 협력…친환경 배달문화 정착 노력
- 배달의민족, 전북 지역 소상공인 판로 확대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