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KSTI, “지하철-공유킥보드 환승연계 추진”


오는 12월 개정 예정인 도로교통법에 따라 공유 킥보드는13세 이상은 면허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자전거 전용도로에서도 주행할 수 있어 더욱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노상주차와 무단방치로 인한 사회적 문제도 심해지고 있다.

image 1 - 와우테일

서울교통공사는 모빌리티 소트트웨어 개발업체인 KST인텔리전스(KSTI)와 공유 킥보드의 지하철역 인근 노상주차・무단방치로 인한 안전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역 출입구 인근 부지 등 인프라 제공과 인허가를 위한 관계기관 협의 및 제도개선 등을 수행하고, KSTI는 이 공간에 공유 전동 킥보드용 충전 거치대와 헬멧 대여소 등 기타 부대시설을 설치 후 이를 맡아 운영하게 된다.

서울교통공사와 KSTI는 시범 사업으로서 설치를 위한 준비과정을 충분히 거친 후, 일부 역사에 킥보드용 충전거치대와 부대시설을 설치해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경우 본 사업으로 발전시켜 그 규모를 확대한다.

2021년 중 시범 사업을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설치 역사는 아직 미정이나 1~5개 역사에 설치할 계획이다. 

지하철과 공유 킥보드의 이용 연계성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마련한다. 공사와 KSTI는 앱 하나로 여러 업체의 공유 킥보드 예약・결제・최적 이동경로 확인 등 다양한 기능을 지닌 전문 플랫폼과 앱 서비스도 시행할 예정이다.

앱을 통한 지하철-공유 킥보드 연계이용권 개발 및 연계이용 시 킥보드 요금을 인하하는 방안 등도 추진한다. 올 8월 서울을 기준으로 공유 킥보드는 16개 업체에서 약 3만 6천여 대를 도입해 운영 중인데, 앱 서비스에 참여를 원하는 공유 킥보드 업체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KSTI의 안정적 거치대 및 편의시설 운영을 통해, 역사 근처에 무분별하게 방치되어 있던 공유 킥보드가 깔끔히 정리되어 안전과 편의성이 향상될 것이다”라며 “지하철과 공유 킥보드의 연계가 서울 지하철을 포함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기사 공유하기

응답

  1. […] 서울교통공사와 로카모빌리티(구, 이비카드)와 협약을 맺고 구축중인 지하철과 퍼스널모빌리티간의 환승 플랫폼에 코나투스가 운영중인 합승택시 플랫폼인 반반택시까지 결합하여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