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온오프라인 연계해서 중소기업 해외전시회 참가 확대
Reading Time: 2 minutes중소벤처기업부는 해외 전시회 등에 참가하지 못해 수출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온·오프라인(O2O) 전략 컨소시엄을 오늘부터 연말까지 추진한다고 밝혔다.

해외 전시회 참가는 중소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수출 마케팅이나 해외 주요 전시회의 연기·취소와 출입국 제한 등으로 인해 중소기업은 수출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기부는 중진공, 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기관의 해외거점(수출 인큐베이터)과 현지 유통망 등을 연계해 오프라인 전시·상담회와 온라인 화상 상담회를 결합한 신개념 수출지원 서비스를 도입해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온·오프라인(O2O) 전략 컨소시엄 운영방식은 여전히 해외에 나가기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현지에서 채용한 판매사원(MD)이 전시회(또는 상담회)에 기업의 해외 영업사원을 대신해 참가한다. 현지 판매사원은 현장에서 대면 방식으로 제품 홍보와 수출 상담을 진행하며 한국에 있는 기업들과 실시간 화상 상담을 통해 해외 바이어와 직접 상담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현지 전시회에서 사전 발송한 제품으로 기업·제품별 전시관과 체험관이 구성돼 바이어를 대상으로 체험 마케팅이 진행된다. 바이어(B2B)와 일반인(B2C) 참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부대 행사를 통해 다양한 현지 홍보도 가능해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수출 성과 제고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오프라인(O2O) 전략 컨소시엄 추진 일정은 주관 기관별로 9개국 12개 도시에서 총 13회 개최될 예정으로 참가 신청과 시장성 평가를 통해 선발된 수출 유망 중소기업(제품) 500여개사가 권역별로 참가한다.
주요 수출 국가인 미국(1회)과 중국(3회) 개최를 시작으로 전략 지역인 베트남, 태국, 러시아, 카자흐스탄에서도 6회 행사를 개최해 신남방·신북방 지역에 대한 마케팅도 강화한다.
코로나19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진단키트, 마스크 등을 생산하는 케이(K)방역 관련 기업 47개사가 참여해 수출활로를 개척하고 브랜드케이(K), 화장품 등의 유망 중소기업도 다수 참여한다.
중기부 심재윤 글로벌성장정책과장은 “새롭게 시도되는 온·오프라인(O2O) 전략 컨소시엄을 통해 화상 상담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수출 확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중기부, 아기유니콘 51개사 선정… 최대 173억원 지원
- “先민간투자로 라이콘 키운다”…중기부, 최대 5억 ‘매칭 융자’
- 플랫폼 기업 사회공헌 활동 한눈에 본다…중기부, ‘함성! 희망 플랫폼’ 오픈
- 서울시, 최대 1억원 지원 ‘청년 골목 창업 경진대회’ 참여자 모집(~6월25일)
- 중기부, 경남 진주에 ‘그린스타트업타운’ 조성…창업 복합허브센터로 육성
- 중기부, 아세안 10개국과 벤처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논의
- 정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4조7420원 지원
- 중기부, 로봇 스타트업 육성에 지원 확대…유니콘 목표
- 서울시, 글로벌 큰손과 ‘벤처투자 혹한기 탈출 모색…글로벌 벤처투자 서밋 개최
- 중기부, ‘기술보호지원반’ 확대 편성 “기업 간 기술분쟁 신속 지원”
- DHP,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 동남아 진출 돕는다
- 나우로보틱스, 폴란드 지사 설립 “본격 글로벌 진출”
- 구글-중기부, ‘창구 5기’ 100개사 선정
- 중기부 장관과 이스라엘 前 총리, 양국 스타트업 생태계 협력 방안 논의
- 시공간 데이터 ‘디토닉’, 1000만 달러 투자유치.. “해외시장 진출 박차”
- 메가존클라우드, ‘2023년 상반기 일본 스타트업 동향 분석 리포트’ 발행
- 더이노베이터스-빅뱅엔젤스, Global Big IN ‘2023 글로벌 스터디’ 세미나 성료
- 어밸브, 베트남에 대규모 스마트팜 오픈
- South Korea’s MSS Holds Roundtable Discussion on Japanese Startup Ecosystem
- 중기부, 스타트업 육성 본격화 선언한 일본 생태계 점검 간담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