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증권앱 시장 작년 대비 72% 성장.. 암호화폐 앱 1위는 ‘업비트’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자사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를 통해 <증권 및 가상화폐 앱 사용자 현황> 리포트를 발표했다.
코스피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비트코인이 2,000만원대에 육박하면서 모바일 투자 업종 앱 시장도 활성화 되고 있는 양상이다.

모바일인덱스 분석에 따르면, 2020년 10월 증권 및 가상화폐 앱 사용자수(MAU)는 953만 7,585명으로, 지난 1월(672만 9,395명) 대비 약 4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증권 앱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10월, 증권 앱 사용자수(안드로이드OS 및 iOS 기준)는 909만 8,49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늘어 가상화폐 앱 대비 사용자가 8배 이상 많았다.

증권 및 가상화폐 앱 신규설치 기기수(안드로이드OS 기준)는 코로나19 1차 유행 시기인 지난 3월(321만 2,149명)에 크게 증가했으며, 2차 유행이 일었던 8월(204만 9,026명)과 9월(203만 4,352명)에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업종 앱 신규 유입자의 약 56%는 3040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화폐 거래소 앱 시장은 ‘업비트’와 ‘빗썸’의 2강 체제가 확립되었다. 1위 ‘업비트’의 10월 사용자수(MAU)는 53만 1,738명이었으며, 1인당 평균 사용일수(13.32)와 사용시간(3.73시간) 모두 2위 ‘빗썸’에 앞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밖에도, 10월 가상화폐 앱 사용자 107만 8,762명 중에서 59%에 달하는 63만 9,672명이 증권 앱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업종의 10월 모바일 중복 사용률은 전년 동기 대비 18%p 증가했다.

증권 앱 사용자는 40대(26.76%)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30대(24.92%) > 20대(24.21%) > 50대(17.37%) > 60대(4.22%) > 10대(2.51%) 순으로 많았다. 가상화폐 앱 사용자는 30대(28.15%)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40대(25.23%) > 20대(24.52%) > 50대(15.74%) > 60대(3.67%) > 10대(2.69%) 순이다.

‘키움증권 영웅문S’가 사용자수 181만 9,275명을 기록하면서, 증권 앱 사용자수 1위 자리를 지켰다. 업계 2위 ‘삼성증권’과 3위 ‘한국투자증권’의 10월 사용자수(MAU)는 각각 136만 3,957명과 121만 1,664명으로 분석됐습니다

모바일인덱스 측은 분석 기간이 2019년 10월 1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이며, 일평균 4,000만 모바일 기기의 20억건 데이터(안드로이드, iOS 통합 데이터 기준)를 AI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분석했다고 밝혔다.
- 벤처오디세이, 해외 유망 Web3 스타트업 2개사에 투자 집행
- 람다256, 5월 19일 ‘루니버스 웹3데이’ 개최
- 블록체인글로벌, 에이락과 손잡고 토큰 증권 플랫폼 개발 추진
- 메타지홀딩스, 100만 달러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
- DAXA, ‘자금세탁방지 전문가’ 김시목·이민섭 신규 자문위원 위촉
- 엠블, 오는 28일 바이비트 거래소 상장…블록체인 모빌리티 생태계 확장 가속화
- 아프리카TV 子 프리캡 블록체인 프로젝트 ‘캐피’, 프리시드 투자 유치
- 블록크래프터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챌린지 엑스 6기’ 참가 스타트업 모집(~5월15일)
-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곰블’, 알토스벤처스 등으로부터 시드 투자 유치
- 업비트-마스크네트워크, ‘제2회 AMA DU 페스티벌’ 성료
- 1분기 창업 33만3372개, 전년비 4.4% 감소
- 메가존클라우드, ‘2023년 상반기 일본 스타트업 동향 분석 리포트’ 발행
- South Korea’s Q1 2023 venture investment down 60% year-on-year
- 1분기 벤처투자, 전년비 60% 감소한 8815억…투자혹한기 된서리
- 22년 벤처·스타트업 고용 75만명, 증가율 8.1%로 전체 기업의 3.4배
- 디즈니+, 전년비 OTT앱 설치 증가율 1위…505만명으로 51% 증가
- 소비자 83% “전문직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선택권 보장돼야”
- “생성형 AI, 돌풍은 맞지만…” 옴디아, ‘2023 생성형 AI 시장 전망 보고서’ 발표
- 지난해 연간 창업기업 수는 131만 7479개…전년비 7%↓
- 코스포 첫 백서 발간.. “회원사 매출 20조원· 투자 유치 29조원·고용 5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