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T바이크 서비스 4개 광역시로 확대
Reading Time: 2 minutes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 T 바이크’ 서비스 지역을 대구∙부산∙광주∙대전 4개 광역시로 대폭 확대한다. 대구광역시에 이어 21일에는 부산광역시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5월에는 광주광역시와 대전 광역시까지 서비스 론칭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올 상반기 대구・부산・광주・대전 4개 광역시 진출을 통해 카카오 T 바이크를 전국 서비스로 본격 확장한다. 기존 서비스 지역인 울산광역시를 포함해 주요 광역 도시를 거점으로 서비스 권역을 넓혀가며 이용자 접점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먼저, 지난 3월 500대 규모로 서비스를 시작한 대구광역시는 이용자 수요가 빠르게 증가해 서비스 시작 한달만에 1천 대를 추가 투입, 총 1천 5백대 규모로 운영 중이다. 대구광역시에 이어 이달 21일부터는 부산광역시에서도 500대 규모로 카카오 T 바이크 서비스를 시작했다.
오는 5월에는 광주광역시와 대전광역시에 각 1천대씩 총 2천대 규모로 서비스를 시작해 4개 광역시에서만 총 4천대의 카카오 T 바이크로 시민들의 중・단거리 이동을 지원하게 된다.
4개 광역시에 제공되는 카카오 T 바이크는 전량 2세대 바이크로 투입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용자 편의성 증대를 위해 전기자전거 품질에도 심혈을 기울여 기존 모델 대비 내구성・GPS 수신 감도・배터리 용량 등을 개선한 2세대 바이크를 투입해왔으며, 일부 지역에 운영 중인 1세대 바이크도 연내 2세대 바이크로 모두 교체할 예정이다.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노력도 다각도로 전개된다.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기자전거 관리・긴급 수리・재배치 등의 전담 운영팀을 지역별로 운영하고 있으며, 3세대 바이크도 준비중이다. 3세대 바이크는 ▲브레이크, 차체 등 주요 부품 개선을 통한 내구성 강화 ▲배터리 용량 증대 ▲배터리 탈부착 시스템 적용 뿐만 아니라 ▲배터리 위치를 안장 하단부로 이동시켜 무게중심에 의해 이용자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데도 무게를 뒀다.
카카오모빌리티 안규진 사업부문총괄(CBO) 부사장은 “카카오 T 바이크는 기존 교통수단이 미치지 못하는 이동의 공백을 메우며 개인맞춤형 이동수단으로 확고히 자리잡았다”며 “서비스 규모가 확장되는 만큼 재배치, 충전 등 제반 사항부터 이용자 니즈와 지역별 교통인프라까지 고려한 최적화된 운영으로 고품질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 [스타트업 투게더] 즉시 교체 가능한 전기이륜차 충전 서비스 ‘에임스’
- 지쿠, 미국 진출…연내 전동킥보드 및 전기자전거 8,000대 운영 목표
- 씽씽, ‘씨앗교환소‘-‘연쇄할인 24’ 서비스 론칭
- 지쿠, 전기자전거 서비스 출시…세종-인천 시작으로 전국 확대
- GBike, operator of shared scooters, raises pre-Series C funding, plans IPO in 2025
- 공유 킥보드 ‘지쿠’ 운영사 지바이크, 프리시리즈C 투자 유치 “25년 IPO 계획”
- 일레클, 전기자전거 월 렌탈 상품 출시…이달 말까지 47% 할인
- 공유킥보드 ‘씽씽’ 운영사 피유엠피, 200억원 시리즈B 투자 유치
- 씽씽, 새 킥보드 모델 Q1 출시
- [스타트업 투게더] 셰빌리티 “75억명 도시인 이동의 시작과 끝을 책임지는 스마트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