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케이(K)-스타트업 센터’ 입주기업 상시 모집


중소벤처기업부는 ‘케이(K)-스타트업 센터 통합 체제(플랫폼)’를  지난 14일 개시(오픈)하고 케이(K)-스타트업 센터(Korea Startups Center, KSC) 내 사무공간을 활용할 기업을 상시 모집한다. 

‘케이(K)-스타트업 센터’는 세계 유수의 혁신 창업생태계에 국내 창업기업이 진입·안착할 수 있도록 현지의 창업 중심지에 구축된 창업기업 전용 해외진출 지원 거점으로, 2019년 이스라엘, 미국 시애틀, 인도 뉴델리를 시작으로, 2020년 싱가포르, 스웨덴 스톡홀름, 핀란드 헬싱키, 2021년 프랑스 파리 등 총 7개국에서 케이(K)-스타트업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7개의 케이(K)-스타트업 센터에서는 국내·외 투자실적 또는 해외 매출 실적이 있는 창업기업을 선발해 현지 보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돕고 있다.

AKw Jn - 와우테일

특히 미국 시애틀, 인도 뉴델리, 싱가포르, 스웨덴 스톡홀름 4개의 케이(K)-스타트업 센터에는 창업기업을 위한 사무공간을 마련하여 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창업기업들도 필요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현재 입주공간은 4개의 센터에 독립실 29개, 공유 사무실(오피스) 104개 등 총 133개가 있다.

창업기업은 1년간(최대 2년) 또는 출장 등이 있을 때 단기간 입주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케이(K)-스타트업 센터 내 타 기업과 자유롭게 연계망(네트워킹)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 상담, 현지 정보 안내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창업기업이 보다 더 쉽고 간편하게 입주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케이(K)-스타트업 센터 통합 체제(플랫폼)를 구축했다.

- 와우테일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창업기업은 통합 체제(플랫폼)에서 케이(K)-스타트업 센터 내 독립실 및 공유사무실(오피스)의 공실 현황 조회부터 입주·사용 신청까지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통합 체제(플랫폼)을 통해 국가별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현지 진출에 성공한 기업 사례, 케이(K)-스타트업 센터가 보유한 현지 창업 연계망(네트워크) 등 현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창업기업이 효율적으로 해외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기부 강신천 기술창업과장은 “케이(K)-스타트업 센터는 우리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과 안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외 혁신 창업생태계 내에 구축된 거점”이라며, “이번에 마련한 통합체제(플랫폼)을 통해 더 많은 창업기업이 케이(K)-스타트업 센터를 해외진출에 활용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케이(K)-스타트업 센터 입주·사용을 희망하는 창업기업은 케이(K)-스타트업 센터 통합 체제(플랫폼)에서 상시 입주신청 및 자세한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7개 케이(K)-스타트업 센터에서는 운영하는 현지 보육 및 사업화 자금 지원 프로그램에 참가할 창업기업은 3월 말에 별도 공고를 통해 모집할 예정이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