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스타트업 육성 본격화 선언한 일본 생태계 점검 간담회 개최
Reading Time: 2 minutes중소벤처기업부는 11일 오후 도쿄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에서 일본에서 활동 중인 한국 스타트업과 현지 벤처캐피탈 등 투자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 내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점검 및 정보 공유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인테리어 및 가구추천 플랫폼 ‘오늘의집’을 운영하는 ‘버킷플레이스’, 지역기반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 가상자산 금융서비스 하이퍼리즘, 패션 이커머스 플랫폼 메디쿼터스, 해외송금 전문 핀테크 ‘모인‘을 비롯한 한국 스타트업 8개사, ‘신한퓨쳐스랩’, ‘메가존클라우드’, ‘신한벤처투자’, ‘삼성벤처스’, ‘글로벌브레인(Global Brain)’, ‘라쿠텐벤처스’, ‘코로프라넥스트‘ 등 일본에서 활동하는 액셀러레이터와 벤처캐피탈 7개사가 참여하여 일본의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과 한국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한-일 정상 셔틀외교 복원 등 관계 개선과 스타트업담당상 신설(’22.8월),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 발표(’22.11월)와 같은 일본의 스타트업 육성기조에 발맞춰 우리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확대를 추진중이다.
2022년 11월 일본 정부는 2027년까지 스타트업 1000개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스타트업 육성과 관련해서 일본이 뒤처진 느낌이었는데, 이제 본격화한다고 할까?
우선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및 지원 강화한다. 정부는 벤처 캐피털, 인큐베이터 및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스타트업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세금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스타트업과 대기업 간의 협력을 장려하고 스타트업 성장을 위한 규제 개혁을 추진한다.
스타트업의 인재 육성을 위해 일본 정부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스타트업 창업자를 위한 멘토링 및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스타트업 인재 유치를 위한 비자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또한 일본 정부는 스타트업이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 진출 컨설팅 및 마케팅 지원을 제공하고 스타트업 투자자를 위한 해외 투자 펀드를 조성한다. 또한 스타트업이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규제 개혁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기부는 국내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을 위해 민간역량을 적극 활용하고자 ‘일본진출 스타트업 공동 육성사업’을 신한금융그룹과 추진할 예정이며, 이에 대한 운영방안 청취 및 스타트업 대상 홍보도 병행하였다.
이영 장관은 “한-일관계 개선과 일본의 스타트업 육성기조가 결합된 지금이 K-스타트업의 일본 진출을 위한 최적의 시기”라고 강조하며, “우리나라에서 성공한 ‘당근마켓’, ‘오늘의집’과 같은 서비스들이 일본 내에도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일본 내 ‘스타트업 코리아’ 구현에 이바지하기 바라며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DHP,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 동남아 진출 돕는다
- 나우로보틱스, 폴란드 지사 설립 “본격 글로벌 진출”
- 구글-중기부, ‘창구 5기’ 100개사 선정
- 중기부 장관과 이스라엘 前 총리, 양국 스타트업 생태계 협력 방안 논의
- 시공간 데이터 ‘디토닉’, 1000만 달러 투자유치.. “해외시장 진출 박차”
- 메가존클라우드, ‘2023년 상반기 일본 스타트업 동향 분석 리포트’ 발행
- 더이노베이터스-빅뱅엔젤스, Global Big IN ‘2023 글로벌 스터디’ 세미나 성료
- 어밸브, 베트남에 대규모 스마트팜 오픈
- South Korea’s MSS Holds Roundtable Discussion on Japanese Startup Ecosystem
- 중기부∙창업진흥원, 스타트업 20개社 1년간 해외실증 성과공유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