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구글·엔비디아·MS 등 글로벌 13개사와 협업할 스타트업 모집(~2월26일)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025년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창업기업을 오는 26일까지 모집한다.

MSS 1 - 와우테일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은 정부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협업해 우리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해외 시장으로의 진입 기회를 마련하는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이다. 2019년 구글플레이와 모바일 서비스 분야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창구’ 프로그램으로 시작한 뒤 점차 확대돼 지난해까지 창업기업 총 1,231개사를 육성했다. 

올해는 방위, 항공·우주, 사이버 보안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인 탈레스, 세계 최대 뷰티 기업 로레알코리아, 그리고 글로벌 산업용 가스 기업 에어리퀴드 등 3개사가 새로이 파트너로 합류해 글로벌 기업 총 13개사가 참여한다. 또한, 기존 참여 기업인 앤시스와 함께 우주·항공 분야 창업기업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총 14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지원 규모도 창업기업 305개사를 지원했던 작년 대비 대폭 확대돼 총 364개사의 창업기업을 선발한다. 작년에 합류했던 오픈AI는 올해 빠졌다.

이번 모집 공고는 △창구 프로그램(구글플레이 협업) △엔업 프로그램(엔비디아 협업) △마중 프로그램(마이크로소프트 협업) △다온다 프로그램(다쏘시스템 협업) △에이에스케이(ASK) 프로그램(앤시스 협업) △지중해 프로그램(지멘스 협업), △정글 프로그램(AWS 협업), △미라클 프로그램(오라클 협업), △IBM 퀀텀(IBM 협업)△ Trust my Tech(탈레스 협업, 딥테크 분야), △로레알 빅뱅(로레알코리아 협업, 연구혁신 및 디지털 분야), △N.E.O(에어리퀴드 협업, 친환경 에너지 분야)등 총 14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공고에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1개 프로그램을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최종 선정된 창업기업은 공통적으로 중기부의 사업화 자금(최대 2억원) 및 특화 프로그램을 지원받는다. 이와 함께 각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전문 서비스, 교육, 컨설팅, 글로벌 판로 개척 등으로 구성된 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창업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의 지속적인 협업을 지원하고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글로벌 기업 협업 해외실증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기존 프로그램의 우수 졸업기업을 대상으로 PoC(기술 타당성 검증) 및 PoV(비즈니스 가능성 검증)를 후속 지원할 계획으로, 3월 중 별도로 공고할 예정이다.

오영주 장관은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에 유망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 3개사가 추가로 합류해 우리 창업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리게 되었다”며, “중기부는 앞으로도 우수한 K-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고자 하는 글로벌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하여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가 확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은 넥스트챌린지, 노틸러스인베스트먼트,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등 4개 기관이 주관기관으로 운영한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