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용 파운데이션 모델 공개


엔비디아(NVIDIA)가 오늘 새벽에 열린 GTC 2025 기조연설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한층 앞당길 신기술들을 공개하며 주목받았다. 

GTC 2025 Physical AI - 와우테일

핵심은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개발을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인 ‘엔비디아 아이작 그루트 N1(NVIDIA Isaac GROOT N1)’으로, 로봇이 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이는 범용 인공지능(AI)의 새 장을 열었다. 여기에 시뮬레이션 도구와 물리 엔진까지 더해 전 세계 로봇 개발자들에게 혁신의 날개를 달아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루트 N1, 로봇에게 인간 같은 사고를

엔비디아(NVIDIA)의 창립자 겸 CEO 젠슨 황(Jensen Huang)은 무대에 올라 “이제 로봇도 범용 시대에 접어들었다”며 GROOT N1을 소개했다. 이 모델은 인간의 사고 방식을 닮아 빠르게 반응하는 ‘시스템 1’과 신중히 계획을 세우는 ‘시스템 2’로 나뉘어 작동한다. 덕분에 로봇은 물건을 집거나 양손으로 옮기는 간단한 일부터,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복잡한 작업까지 척척 해낸다.

그루트 N1은 엔비디아(NVIDIA)의 가상 세계 플랫폼인 옴니버스(Omniverse)에서 만든 방대한 합성 데이터와 실제 인간의 시연 데이터를 학습해 완성됐다. 물류 창고에서 물건을 나르거나, 공장에서 포장과 검사를 돕는 등 실생활에서 활용도가 높다. 개발자들은 이 모델을 자신만의 로봇이나 작업에 맞춰 손쉽게 다듬을 수 있어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

젠슨 황은 키노트에서 원엑스(1X)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집안을 깔끔히 정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는 원엑스(1X)와 엔비디아(NVIDIA)가 함께 그루트 N1을 활용해 만든 결과물이다. 원엑스(1X) CEO 베른트 뵈르니히(Bernt Børnich)는 “그루트 N1 덕에 적은 데이터로도 로봇의 사고력과 기술을 크게 높였다”며, “단순한 도구가 아닌, 사람과 함께하는 동반자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 어질리티 로보틱스(Agility Robotics),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같은 글로벌 선두주자들도 벌써 그루트 N1을 손에 쥐고 실험 중이다.

구글-디즈니와 함께 만든 물리 엔진 ‘뉴튼(Newton)’

엔비디아(NVIDIA)는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 디즈니 리서치(Disney Research)와 손잡고 로봇 학습을 위한 오픈소스 물리 엔진 ‘뉴튼(Newton)’도 선보였다. 뉴튼(Newton)은 로봇이 정밀한 작업을 익히는 데 도움을 주며, 구글(Google)의 MuJoCo나 엔비디아(NVIDIA)의 아이작 랩(Isaac Lab)과 자연스럽게 연동된다. 특히 구글(Google)과 함께 만든 MuJoCo-Warp는 로봇 학습 속도를 70배나 빠르게 만들어줄 전망이다.

디즈니(Disney)는 뉴튼(Newton)으로 엔터테인먼트 로봇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다. 키노트에서 스타워즈 속 BDX 드로이드가 무대를 누비며 관객을 사로잡았다. 디즈니 이매지니어링(Disney Imagineering)의 카일 래프린(Kyle Laughlin) 부사장은 “더 생생하고 매력적인 로봇 캐릭터로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다”며 기대를 내비쳤다. 엔비디아(NVIDIA)는 또 인트린직(Intrinsic)과 협력해 로봇 데이터 흐름을 개선하는 작업도 추진한다.

GTC 2025 OMNIverseCosmos - 와우테일

훈련 환경과 디지털 트윈, 데이터 혁신의 비밀병기

로봇 개발의 핵심은 데이터인데, 실세계 데이터를 모으는 건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 않다. 엔비디아(NVIDIA)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작 GR00T 블루프린트(Isaac GR00T Blueprint)’를 내놨다. 이 도구는 옴니버스(Omniverse)와 코스모스(Cosmos)라는 기술을 활용해 적은 양의 인간 시연 데이터로 엄청난 양의 합성 데이터를 뚝딱 만들어낸다.

  • 옴니버스(Omniverse): 엔비디아(NVIDIA)가 만든 3D 가상 세계 플랫폼으로, 현실 같은 환경에서 로봇을 훈련시킬 수 있다. 게임이나 영화 같은 디지털 공간을 넘어, 로봇 학습의 놀이터로 자리 잡았다. 
  • 코스모스(Cosmos): 실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잇는 운영체제처럼, 공장이나 도시 같은 물리적 객체를 디지털 트윈으로 바꿔 시뮬레이션을 돕는다.

실제로 블루프린트(Blueprint)를 활용해 11시간 만에 9개월 치에 해당하는 78만 개의 동작 데이터를 생성했고, 이 데이터를 실 데이터와 섞어 그루트 N1의 성능을 40%나 끌어올렸다. 이런 데이터셋은 오픈소스로 공개돼 누구나 허깅 페이스(Hugging Face)에서 가져다 쓸 수 있다.

지금 바로 써볼 수 있는 기술들

그루트 N1의 훈련 데이터와 시나리오는 허깅 페이스(Hugging Face) 깃허브(GitHub)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그루트 블루프린트(Blueprint)도 데모로 체험하거나 깃허브(GitHub)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GTC에서 함께 공개된 ‘DGX 스파크(DGX Spark)’는 개인용 AI 슈퍼컴퓨터로, 그루트 N1을 새로운 환경에 맞춰 확장하는 데 유용하다. 뉴튼(Newton) 물리 엔진은 올해 말쯤 만나볼 수 있을 예정이다.

엔비디아(NVIDIA)의 이번 발표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단순히 일을 돕는 기계를 넘어, 사람과 함께 생각하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존재로 거듭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젠슨 황은 “전 세계 개발자들이 이 기술로 AI 시대의 새 지평을 열 것”이라며, 엔비디아(NVIDIA)가 그 여정을 이끌겠다고 자신했다.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고 일상을 바꿀 로봇의 미래가 한층 가까워졌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