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D2SF, 10년간 115팀에 투자…21년 대비 기업가치 4배↑


네이버 D2SF가 지난 10년간 초기 스타트업 115팀에 투자를 집행했다고 13일 밝혔다. D2SF는 10주년 라운드 테이블 행사를 개최하고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와 함께 성장해 온 경험을 공유했다. 이와 함께 향후에도 우수한 국내 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발굴·투자를 지속하는 한편, 이들의 글로벌 진출까지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D2SF5 - 와우테일
naver D2SF 10th Anniversary 10 Years At a Glance - 와우테일
D2SF.1JPG - 와우테일
D2SF2 - 와우테일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corporate venture capital)인 D2SF는 10년간 총 115팀의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투자 당시 시드(Seed) 또는 시리즈A 단계의 초기 기업 99%를 차지한다. 투자한 스타트업들의 기업가치는 현재 5.2조 원 규모로 2021년(70팀) 대비 약 4배 규모로 성장했고, 이 중 64%가 네이버와 구체적인 협업 아젠다를 발굴했다.

네이버 D2SF 양상환 센터장은 “당장 협력 접점이 없어도 우수한 기술을 가진 초기 스타트업(시드~시리즈A)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이 D2SF만의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 

네이버 D2SF는 AI·버추얼·로보틱스 등 각 기술·산업에서 처음으로 새로운 시도에 나선 개척자(Frontier)에 주목했다. 높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96%라는 압도적인 생존율, 시드 단계에서 Pre-A까지 도달하는 기간이 18개월을 기록하는 등 단단하게 성장 중이라는 것이 네이버 측의 설명이다.

양 센터장은 개척자에 가까운 투자 스타트업의 대표적인 사례로, 국내 최초 AI 반도체 칩을 설계한 ‘퓨리오사AI’와 로봇SW 기업 최초 상장사인 ‘클로봇’, AI 데이터 플랫폼 최초로 상장한 ‘크라우드웍스’ 등을 대표사례로 꼽았다. 퓨리오사AI는 법인 설립 후 첫 투자를 포함, 이후 두 차례 후속 투자를 네이버 D2SF로부터 유치했다.

네이버 D2SF는 투자 이후에도 입주공간, 클라우드 인프라 등 다양한 밸류업 및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네이버 측은 “자사가 제공하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 스타트업과 그렇지 않은 스타트업의 성장률은 약 9배 차이가 났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 D2SF는 연 2회 캠퍼스 기술창업공모전을 운영하며, 창업 전 단계인 학생창업팀 발굴·투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네이버와 스타트업의 시너지’를 중점으로 전체 투자 스타트업의 64%가 네이버와 협업을 통한 시너지를 내고 있다. 네이버 D2SF로부터 두 차례 투자를 유치한 양수영 테크타카 대표는 “네이버쇼핑과 긴밀히 협력해 주7일 ‘네이버배송’ 서비스를 운영하며 당일 출고율 99.9%를 기록 중”이라며 “급증하는 물류량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naver D2SF 10th Anniversary Looking Ahead - 와우테일

마지막으로 양상환 센터장은 네이버 D2SF의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공개했다. 현재 네이버 D2SF에서 투자한 스타트업의 81%가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 중이며, 네이버 D2SF 역시 지난해 10월 미국 실리콘밸리로 활동 반경을 넓힌 바 있다. 

양 센터장은 “우리와 함께 성장해 온 수많은 스타트업들이 10년이 지난 현재, 국내를 넘어 글로벌로 진출해 성장해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며 “스타트업들은 더 큰 시장과 더 큰 자본을 필요로 하고 있고, 글로벌 고객이나 파트너 확보 등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는 만큼, 지난 10년의 경험과 성과를 토대로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큰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교두보가 되고자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며 발표를 마쳤다.

한편,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D2SF의 취지와, 지난 10년간 꾸준한 투자와 협력 등 다양한 활동의 의미를 담은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D2SF3 - 와우테일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